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사용처를 ‘일부 키오스크'로 한정하며 영세 음식점 사장들이 고심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 높아진 인건비에다 소비 절벽까지 겹친 가운데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키오스크를 활용하고 있는 자영업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장들이 배달앱과 간편결제 연동이 용이한 결제대행사(PG)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탓에 소비쿠폰 사용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행정안전부는 PG방식으로 운영하는 키오스크와 테이블 주문 시스템의 경우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용이 제한된다고 밝혔다. 행안부 관계자는 “PG 방식의 경우 매장 내 카드 단말기를 통한 결제만 가능하다”고 말했다.
팬데믹 이후 키오스크, 테이블 주문 등 비대면 주문 시스템이 늘고 있다. 소비 침체 속 자영업자들이 인건비 절감 등 제반 비용을 줄이기 위해 비대면 주문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대면 주문 시스템은 결제방식에 따라 부가가치통신망(VAN) 방식과 전자지급결제대행사(PG) 방식으로 나뉜다. VAN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신용카드 단말기와 비슷한 종류로 카드사 수수료만 부담한다. 그러나 삼성페이, 페이코 등 간편결제가 용이하지 않을 뿐 더러 연동 가능한 키오스크 업체가 제한적이다. 반면 PG 방식은 수수료가 비싸지만, 간편결제, 포인트결제, 앱결제 등 다양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배달앱, 모바일 주문과 연동이 쉽다.
문제는 PG 방식의 경우 본사 매출로 정보가 집계돼 소비가 실제로 이뤄진 업체의 매출액과 지역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행안부는 금융위원회와 꾸준히 논의를 지속했지만, 비용 부담에다 사용처를 식별할 프로그래밍을 탑재하는 기간이 최소 2~3개월 소요되는 탓에 결국 사용처에서 제외했다.
이에 1인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비상이 걸렸다. 인건비 절감과 배달 주문 효율화 목적으로 비대면 시스템을 선택했지만, 소비쿠폰을 사용하려면 직접 대면 결제를 하는 방법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키오스크나 테이블 오더 등 비대면 주문 기계에 스티커를 부착해 소비쿠폰 사용 불가를 알리겠다는 입장이지만, 자영업자들은 대면 결제 시 일손이 부족한 상황에서 요리와 서빙, 결제까지 감당하려면 몇 배로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1인 매장을 운영하는 사람들은 소비쿠폰 사용 고객들에게 따로 응대를 해야 하는 탓에 매장 운영 과정에서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며 “배달음식을 포기하더라도 몇 달 만이라도 비대면 시스템 운영 방식을 변경할 까 고심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