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6학년도 대학 수시모집에서 상위권 수험생의 이른바 ‘의대쏠림’ 현상이 완화된 반면 이공계 대학 선호 현상은 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확산 등에 따라 이공계열 직군의 ‘몸값’이 오르며 수험생 입시 전략도 달라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26일 종로학원이 자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카이스트(KAIST)·유니스트(UNIST)·지스트(GIST)·디지스트(DGIST) 등 과학기술원 4곳의 수시모집 지원자 수가 전년 대비 16.1% 증가한 2만4423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지원자 수는 최근 5년 새 최고치다. 실제 이들 과학기술원 수시모집 지원자 수는 2022학년도 1만3315명을 기록한 데 이어 2023학년도 1만5443명, 2024학년도 1만8630명, 2025학년도 2만1029명을 각각 기록한 바 있다. 경쟁률 또한 14.14대 1로 최근 5년 새 가장 높았다.
반면 의대·치대·한의대·수의대·약대 등 의약학계열 수시모집 지원자 수는 11만2364명으로 전년 대비 21.9% 감소했다. 의약학계열 지원자 수는 2022학년도 13만8267명을 기록한데 이어 2023학년도 12만7840명, 2024학년도 12만3905명, 2025학년도 14만3935명을 각각 기록한 바 있다. 올해 의약학계열 수시모집 지원자 수가 최근 5년새 최저를 기록한 셈이다.
대학 자퇴생 숫자에서도 의약학계열 관련 인원은 늘어난 반면 과학기술원 자퇴인원은 줄어들며 대조를 이뤘다. 지난해 기준 과학기술원 4곳의 중도탈락자 수는 243명으로 최근 5년 새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의약학계열은 1119명으로 최근 5년 최고치를 기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6학년도 대입에서 의대 정원이 1500여명 줄어든 점을 감안하더라도 약대·한의대 등 의약학계열 지원자 수까지 큰 폭으로 감소한 점은 이례적”이라며 “과학기술원 지원자 수가 최근 5년 새 최고치를 기록하고 계약학과와 AI 학과의 선호도가 오른 점을 보면 의약학계열에 집중됐던 양상이 이공계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에듀플러스]“누가 만든 순위인가”…수험생 흔드는 '대학 순위표' 실체](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4/news-p.v1.20251024.c0bf37f90c304a69a1a9b93ebe697016_P1.jpg)





![[단독]특고 종사자도 양극화 심화…소프트웨어 프리랜서, 신용카드모집인 소득의 9배](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0/26/news-p.v1.20250520.b7223a2c6e854b6cb208505dc2e036d9_P1.webp)

![[Biz & Now] ‘4대그룹 유일 공채’ 삼성, 이틀간 ‘삼성고시’ GSAT 실시](https://img.joongang.co.kr/pubimg/share/ja-opengraph-im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