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美와 ‘환율 조작 불가’ 합의… 환율 민감 트럼프 대통령 달래기

2025-11-17

미국의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대만이 환율조작은 원칙적으로 불가하다는 합의를 미국과 맺었다고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이 17일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만 중앙은행과 미국 재무부는 지난 14일 환율 문제와 관련한 ‘공동 성명’에서 환율을 시장에 맡긴다는 기본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 소식통은 양측이 외환시장에서 환율을 조작해서는 안 되며 과도하거나 무질서한 환율 변동이 있을 경우에만 ‘대칭적’인 개입을 고려하는 것에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양국은 연기금 등 공공투자 수단의 해외투자도 수출 등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환율 조정을 목표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것에 상호 동의했다.

환율 관련 데이터 공개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대만이 내년부터 외환시장 개입 데이터 공개 빈도를 현행 6개월 1회에서 3개월 1회로 조정하고, 국제통화기금(IMF)의 ‘국제준비금 및 외환 유동성 템플릿’에 따른 선물환 포지션 등 관련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만 언론은 자국과 미국의 이 같은 환율 관련 공동성명이 일본, 한국, 스위스, 태국, 말레이시아에 이어 6번째라면서 빈도는 국가별로 조금씩 다르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발표가 외환시장에 대한 여파를 우려해 14일 외환시장 종료 이후 이뤄졌다며 향후 대만달러 평가절상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미 재무부는 지난 5월 의회에 보고한 ‘주요 교역 대상국의 거시경제 및 환율 정책’ 반기 보고서에서 중국, 일본, 한국, 싱가포르, 대만, 베트남, 독일, 아일랜드, 스위스 등 9개국을 환율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했다. 이번 조치는 8가지 ‘비관세 부정행위’ 중 첫 번째로 ‘환율 조작’을 꼽을 정도로 환율 문제에 민감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달래는 조치로 평가된다. 이와 관련해 미국이 관찰대상국인 대만을 환율조작국에 올리겠다고 압박하면서 협상에서 대만이 더 큰 양보를 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었다.

이번 합의에 대만 야당은 우려를 표했다. 한 야당 입법위원(국회의원)은 대만과 미국의 무역 협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대만 경쟁 우위를 위한 당국의 환율 조정 능력이 크게 하락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