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정기선 HD현대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여승주 한화그룹 부회장 등 기업인 7명을 포함해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를 주재했다.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 뒤 합의된 내용이 공식 문서화돼 확정된 뒤 갖는 첫 대통령-산업계 소통이다. 국가적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사안인 만큼, 정부간 합의더라도 막전막후 상황까지 산업계와 허심탄회하게 풀어놓는 건 환영할 일이다.
무엇보다 팩트시트 뒤에도 3500억달러 투자처 선정 문제, 양국 이견 충돌시 관세 복원 등 숱한 난제가 도사리고 있는 만큼, 관련 기업 수장들이 이를 인지하고 대비하느냐는 명운이 걸린 정도의 중대사다. 정부도 앞으로 팩트 이행기간 기업과의 '원팀'을 강조한 만큼, 중요한 출발 자세라 본다.
이번 팩트시트 자체를 놓고 과도한 성과를 말하는 것도, 실패로 단정하는 것도 모두 국익에는 도움이 안된다. 팩트시트는 말 그대로 공식화된 약속이다. 진정한 성과는 팩트시트를 이행해가면서 얻는 산업적 이익, 국익의 크기와 비례해 나타난다.
특히, 반도체·자동차·조선과 같은 현실적 유관 산업을 넘어 원자력·우주항공·방산·바이오 같은 미래분야 기술과 경쟁력을 얼마나 높이느냐가 우리나라로선 얻어내야할 성과의 핵심이다. 미국도 자기들이 당장 절실한 반도체·조선 협력을 얻기 위해 원자력·방산·바이오 협력을 전향적으로 열어준 것은 특별히 주목할 점이다.
이를 우리 기업들이 미래 기회로 만들고, 시장을 키워가는 전략이 중요하다. 16일 회의에서도 이런 부분이 집중적으로 논의됐으며, 향후 정부 역할과 기업 행보를 유기적으로 맞춰가는 노력을 펼치기로 했으니 기대가 커진다.
이 대통령은 17일부터 G20 정상외교차 중동·아프리카 주요국을 방문, 에너지·인공지능(AI)·방산분야 비즈니스 외교를 이어간다. 취임 5개월여간 숨가쁘게 이어진 외교·통상분야 성과를 이번 실질적 산업 수출과 기술협력 성과로 끌어내겠다는 의지와 자신감이 꽉 차 보인다.
기업과 정부가 손발을 맞추는 것이 국가적으로는 가장 이익이고, 성과를 가능케 한다. 정부가 독단으로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 기업도 기술과 제품에선 자신있어도 정부를 상대하긴 버겁다. 이번 팩트시트가 우리 기업의 성장 토대가 되길 기대해 본다.
이진호 기자 jholee@etnews.com
![[속보] 李대통령 "한미협상 공동대응, 기업인 헌신 덕분…방어 잘 해냈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6/2H0H6N0LDF_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