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7세 베테랑 아롤디스 채프먼(보스턴)의 역사적인 기록이 막을 내렸다. 49일 동안 계속되던 무피안타 행진이 결국 깨졌다.
채프먼은 11일 애슬레틱스 원정경기 9회말 4-4 동점 상황에서 등판해 선두 타자 셰이 랭글리어스에게 2루타를 맞았다. 1볼 2스트라이크로 유리한 카운트를 잡았고 시속 142㎞ 스플리터를 바깥쪽으로 잘 던졌는데 공략당했다. 채프먼의 연속 무피안타 기록이 깨지는 순간이었다.
채프먼은 이날 전까지 17경기, 50타자를 상대하는 동안 단 하나의 안타도 내주지 않았다. 7월24일 필라델피아전 8회말 J.T. 레알무토에게 홈런을 맞은 게 마지막 피안타였다. 아주 오랜만에 첫 안타를 맞은 채프먼은 1사 후 애슬레틱스 로렌스 버틀러에게 다시 안타를 맞았다. 랭글리어스가 홈으로 들어왔고, 보스턴은 4-5로 패했다.
비록 패전은 떠안았지만 지난 49일 동안 채프먼의 피칭은 경이로웠다. 17경기 14.2이닝 동안 50타자를 상대로 삼진 21개를 잡아내면서 볼넷은 단 4개만 허용했다. 실점은 없었고,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은 0.273에 불과했다. 지난 8일 애리조나를 상대로는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을 포함해 1이닝 동안 삼진 4개를 기록하기도 했다.
NBC스포츠 등에 따르면 채프먼이 기록한 17경기 연속 무피안타 기록은 1901년 이래로 역대 3번째다. 2011년 랜디 초트(20경기), 2018년 팀 버다크(18경기) 다음이다. 그러나 좌타자 스페셜리스트였던 초트, 버다크가 1~2 타자만 상대하고 내려간 경기가 많았다는 점에서 채프먼의 기록은 이들에 비해 오히려 가치가 더 크다. 초트가 20경기에서 20타자, 버다크가 18경기에서 24타자를 상대했다.
채프먼은 이번 시즌 61경기 55.1이닝 동안 평균자책 1.14에 4승 3패 29세이브를 기록 중이다. 삼진 81개를 잡는 동안 볼넷은 14개만 기록했다. 이날 전까지 평균자책은 0.98이었다.
채프먼은 켄리 얀선(LA 에인절스)과 함께 현역 마무리 투수 중 가장 화려한 커리어를 쌓은 선수다. 2010년 신시내티에서 데뷔해 16시즌 동안 통산 364세이브를 기록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은 ‘예전 같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다. 채프먼의 1점대 평균 자책은 2016년 1.55가 마지막이다. 2019년 2.21 이후로 지난해까지 5시즌 동안은 2점대 평균자책도 기록하지 못했다. 그래서 올해 채프먼의 활약이 더 놀랍다. ‘반등’ 수준이 아니라 전성기보다도 더 나은 성적을 내고 있다.

채프먼은 올 시즌은 물론 다소 부진했던 최근 몇 년 동안에도 꾸준히 평균 160㎞에 가까운 공을 던졌다. 달라진 점이 있다면 올해 채프먼이 드디어 투구 로케이션을 의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보스턴 포수들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채프먼은 그저 홈플레이트만 보고 공을 던졌는데, 지금은 ‘몸쪽’ ‘바깥쪽’ 등을 생각하고 있다.
보스턴 포수 카를로스 나르바에스는 최근 방송 인터뷰에서 “올봄 캠프 훈련 때 채프먼이 ‘같은 직구라도 몸쪽, 바깥쪽을 구분해서 던질 수 있구나’라고 하더라. 우리로서는 ‘아니 그걸 왜 이제야 안 거야’라고 하고 싶지만, 어쨌든 그에게는 정말 큰 변화였다”고 말했다. 이 말 대로라면 한가운데만 보고 던졌는데도 전성기 시절 리그 최고 성적을 찍었다는 게 오히려 더 놀라울 지경이다.
쿠바 출신 채프먼은 2010년 데뷔 당시부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직구’로 엄청난 관심을 받았다. 채프먼이 2011년 기록한 시속 170.3㎞ 직구는 지금도 MLB 역대 가장 빠른 공으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