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후 중국-미국 과학연구 주도권 동등해져"…어마어마한 연구 결과 들여다보니

2025-11-05

중국의 글로벌 과학연구 주도권 확보 수준이 미국을 빠르게 추격하고 있으며, 이르면 2027~2028년께는 미국과 동등한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된 연구결과를 인용해 미국·중국 공동연구 논문에서 중국 소속 연구자가 ‘프로젝트 리더(지도자 역할)’를 맡는 비율이 2010년 30%에서 2023년 45%로 급등했다고 보도했다. 현 추세가 유지될 경우 중국이 사실상 미국을 따라잡는 시점이 3~4년 내라는 전망이다.

이번 연구는 중국 우한대, 미국 UCLA·시카고대 연구팀이 머신러닝을 활용해 논문 기여도 기술과 저자 데이터를 분석한 것으로, 단순 논문 건수나 인용지표보다 실제 연구 영향력을 반영할 수 있도록 ‘과학력(scientific power)’을 추적했다는 설명이다.

연구자들은 “만약 미·중 공동연구 비중이 절반으로 줄거나 아예 단절되는 경우에도 중국의 주도권 비중은 오히려 더 높아질 것”이라고 모델링을 통해 제시했다. 그 경우 중국 연구자들은 미국 대신 유럽·아시아 연구자들과의 협업 비중을 늘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은 AI·반도체·에너지·재료 등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지정한 전략 11개 분야 중 8개 분야에서 2030년 이전 미국과 동일 수준의 지도자 비중 달성이 가능하다는 분석도 포함돼 있다.

교육을 통한 과학 외교 확대 역시 중국의 전략 중 하나다. 중국 정부는 2012년 이후 아프리카·남아시아 출신 유학생 유치를 위해 333억 위안(약 6조 7000억원) 이상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따르면 최근 중국 연구자들은 이른바 ‘일대일로 국가’ 연구자들과의 공동연구에서 대부분 중국 측이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블룸버그는 “이번 연구가 발표된 시점은 미국 대학 및 연구기관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연구비 대폭 축소 방침으로 지원 불확실성을 겪는 상황”이라며 “정책 변화가 중국의 글로벌 연구 주도권 확대 속도를 더 가속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