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의료기기 6건·필수의료기기 13건 국산화 목표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정부가 내년부터 오는 2032년까지 7년간 총 9408억원을 투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게임체인져급 의료기기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을 통해 의료기기 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5일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국고 8383억원과 민간자본 1025억원이 투입된다.
의료기기는 국민 건강 증진과 의료 서비스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분야다. 특히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의료기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과 로봇기술 등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높고, 핵심 기술 경쟁력 부족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낮은 상황이다. 필수의료기기의 상당 부분이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의료 주권 확보 측면에서도 국산화가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세계 최초 또는 최고 수준의 게임체인져급 의료기기 6건 개발과 필수의료기기 13건의 국산화를 목표로 한다. 연구팀은 기초·원천 연구부터 제품화, 임상, 인허가까지 의료기기 연구개발의 전주기를 지원하며, AI와 로봇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등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전략적 육성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이 사업은 2020년부터 추진된 1기 사업의 성공적 성과를 바탕으로 마련됐다. 1기 사업에서는 총 467개 과제가 지원돼 최근 5년간(2020~2024년) 국내외 인허가 433건(국내 331건, 해외 102건), 기술이전 72건, 사업화 254건의 성과를 거뒀다. 특히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인공신장용 혈액여과기의 국산화와 세계 최초 AI 기반 뇌경색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했다.
정부는 5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사업설명회를 열고 의료기기 분야 산학연병 연구자들에게 사업 내용과 내년도 신규과제 참여 방안을 안내했다. 설명회에서는 세부 사항 안내와 함께 질의응답 및 현장 의견수렴이 진행됐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국가 성장동력인 첨단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범부처 협력 사업"이라며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연구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지난 8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으며, 과기부를 비롯해 산업부, 복지부, 식약처가 공동으로 추진한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人사이트] 최영규 텍코드 대표 “환자 안전과 수술 효율성 높인 내시경 기술로 세계 시장 진출”](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3/news-p.v1.20251103.dd2996694b7449109cdb88e609e31e4c_P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