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 국내 디지털경제 소비자 후생 첫 계량 분석
스탠퍼드대 방법론 국내 적용…디지털 생태계의 실질 가치 측정
검색 연간 704만원·지도 428만원 가치 산출…72% 차지
디지털 필수재 중심의 사회적 후생 고려한 정책 필요성 강조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가 국내 최초로 디지털 서비스의 소비자 후생 가치를 계량 분석한 결과, 검색과 지도 서비스가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디지털 인프라로 평가됐다.
27일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가 공개한 '디지털 경제 리포트 2025'에 따르면, 국민 다수가 일상에서 가장 자주 이용하는 검색과 지도 서비스가 다른 디지털 서비스보다 훨씬 높은 효용을 제공하며, 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했을 때 연간 수백만 원 규모의 소비자 후생을 창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는 미국 스탠퍼드대 디지털경제센터장 에릭 브린욜프슨(Eric Brynjolfsson) 등이 2019년 수행한 연구 방법론을 국내 디지털 생태계에 맞게 적용한 것으로, 디지털 경제의 사회적 기여도를 소비자 중심에서 측정한 첫 시도다. 연구진은 '무료로 이용하는 디지털 서비스가 실제로 우리 삶에 얼마나 큰 가치를 주는가'라는 관점에서 국내 디지털 후생 가치를 처음으로 정량화했다.

이번 조사에는 전국 6,000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경제학 기법이 활용됐다. 국내 사용자는 검색, 지도, 메일 등 12개 디지털 서비스 중 검색과 지도에서 가장 높은 후생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디지털 서비스의 연간 소비자 후생 가치는 최소 2,077만원으로 추정됐다.
특히 연구진은 국내 대표 플랫폼인 네이버 생태계에도 동일한 분석을 적용했다. 그 결과, 네이버가 창출하는 전체 소비자 후생의 72%가 검색(704만원)과 지도(428만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진은 검색과 지도는 디지털 생태계의 기반 인프라이자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필수재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또한 디지털 경제의 진정한 가치를 '생산'이 아닌 '소비자 후생'에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통적 산업연관분석이 제조업 중심의 가치 측정이라면, 디지털 산업은 소비자가 얻는 편익을 중심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20세기 제조경제의 사회적 후생 지표가 GDP였다면, 21세기 디지털경제의 지표는 소비자 잉여(소비자 후생)라며 디지털 서비스의 사회적 기여도를 정량화하는 틀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평가했다.
안재현 KAIST 디지털혁신연구센터장은 "디지털 플랫폼 정책은 사회 전체의 후생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설계돼야 한다"며 "특히 검색과 지도처럼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디지털 필수재는 후생 관점에서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