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대체 얼마나 더 망가져야 정신을 차릴 것인가.”
연간 100억여 원의 혈세가 투입되고 있는 광주광역시민프로축구단 광주FC가 노동일 대표이사 취임 이후 산으로 가고 있는 구단 운영 방식에 안타까움을 표출한 한 축구팬의 애증 섞인 목소리다.
재정건전화 규정 위반, 한국프로축구연맹 상벌위원회 회부, 감독의 심판 비판에도 투지로 똘똘 뭉친 선수들의 선전에 광주FC를 향한 팬들의 함성은 여전했지만, 이번 사안 만큼은 참지 못할 것이라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노동일 대표가 또 다시 5개월째 공석인 억 연봉을 받는 광주FC 경영본부장을 사전에 내정하려 한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노 대표는 지난 2023년에도 이 자리를 이력서 한 장 없이 ‘메일 한 통’으로 상식 이하의 졸속 채용을 진행해 지역사회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특히 내정설이 불거진 A씨는 축구와 인연도 전문성도 찾아 볼 수 없어 더 논란이다.
퇴직공무원 출신인 A씨. 남구는 2023년 자치행정국장을 지낸 A씨를 광주시 반대에도 불구하고 부구청장에 임명했다. 광주시와 5개 자치구는 지난 2018년 인사 협약에 따라 광주시 소속 3급 공무원을 5개 자치구 부구청장으로 임명했으나 남구가 이런 협약을 깬 것이다.
이에 광주시는 모든 인사교류를 중단하고 교부금 지급 등 재정적 불이익을 줬다. 6개월 뒤 명예퇴직한 A씨는 이듬해 11월 남구의회와 공무원노동조합 반대에도 아랑곳없이 공모절차를 밟아 남구 도시재생마을협력센터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이 자리도 역시 여러 뒷말이 나오면서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노 대표는 “현재 여러 가지 평을 들어보고 있다”며 언론 등에 공식적인 해명을 늘어놓고 있지만, 그의 과거 전적(이력서 없이 경영본부장 채용)이 있는 만큼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사전 내정설에 일각에서는 노 대표를 향해 시민들의 혈세로 운영되는 구단이라는 사실을 망각한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적인 셈법이 깔린 수가 다 보이는 행보라는 지적이다.
시즌 도중 2부리그 강등이라는 초유의 징계가 내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광주FC. 코칭스태프, 선수들의 책임일까.
축구에 정통한 수많은 인물들이 구단 내부를 지목한다.
광주FC에 대한 고강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는 광주시의회에서도 울려 퍼졌다.
이명노 광주시의원(서구3)은 지난달 12일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24 회계연도 결산심의에서 “광주FC는 운영 부실로 인한 국제 징계, 상벌위 회부, 재정 건전화 실패 등 연이은 사태로 시민 신뢰를 저버렸다”며 “광주시가 시민구단을 운영할 능력과 자격이 없다면, 이제는 기업 중심의 운영구조로 과감히 전환해야 한다”고 저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