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항공모빌리티로 불리는 AAM(Advanced Air Mobility)은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측면 외에 지방소멸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도 주목받는다.
긴급 운송, 치안 등 국가 필수 서비스 소외 지역을 최소화하고 지방 균형 발전이라는 국가적 과제 해결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국내 독자 AAV 상용화로 기대감이 큰 분야는 물리·경제적 제약으로 인해 보편적 이동권을 보장받지 못하는 도서지역 해상교통이다.
한국섬진흥원의 2023년 연구자료를 보면 섬 주민이 살고 있으나 경제성이 낮아 여객선이나 도선이 운항하지 않고 연륙교조차 개통되지 않은 섬 지역이 국내에 총 73곳이나 있다. 해상교통 사각지대다.
여객선 중심 해상교통은 날씨와 기상 상황에 절대적 영향을 받는다. 운임도 육상 대비 최대 10배 수준으로 높다. 민간이 운영을 꺼리는 비수익 항로의 경우 상대적으로 자기부담금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요조사에서도 각 지자체가 예상하는 AAV 도입 목적 1위는 '관광레저'였고 '응급환자 이송'과 '여객수송'이 2, 3위를 차지했다. 재해대응과 물류배송을 AAV 초기 도입 목적으로 언급한 지자체도 많았다.
우주항공청이 제시한 국내 독자 AAV는 도심을 넘어 광역권을 아우르는 확장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도심항공교통(UAM)보다 상위 개념인 지역항공교통(RAM)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한다.
산업 진흥을 넘어 지역 균형 발전에도 이바지할 새로운 교통 플랫폼이 자리 잡으려면 현재 해외에 전량 의존하는 실증 기체를 비롯해 관련 인증을 위한 제도 개선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당장 민간이 뛰어들기에는 리스크가 큰 시장이다.
미래항공모빌리티가 산업 진흥과 지역 균형 발전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도록 역할을 고민할 때다.
노동균 기자 defros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