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노리는 8조 원 규모 폴란드 잠수함 수주전에 영국이 뛰어들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독일, 스웨덴 등 5개 국이 이 사업을 따내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14일(현지 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방산업체 사브가 지난달 말 잠수함 사업 수주를 위해 폴란드 정부에 제출한 최종 제안서에는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서명한 공식 지지 서한이 동봉돼 있었다. 스타머 총리가 스웨덴의 우군을 자처한 것은 사브가 수주에 성공할 경우 영국 방산 업체 밥콕이 잠수함 건조와 관련해 일부 계약을 따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현지 방산 업계는 밥콕이 다른 영국 기업과 함께 스웨덴의 입찰에 참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폴란드의 차세대 잠수함 도입 사업인 ‘오르카 프로젝트’는 3천t급 신형 잠수함 3척을 신규 도입하는 사업이다. 초기 건조 비용은 약 3조 4000억 원이지만 유지·보수·운영(MRO) 비용을 포함하면 사업비가 최대 8조 원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한화오션을 비롯해 독일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TKMS), 이탈리아 핀칸티에리, 스웨덴 사브 등 여러 글로벌 기업이 뛰어들어 사업 수주를 위해 경쟁 중이다. 대우조선해양이 전신인 한화오션은 경쟁사에 비해 높은 품질·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최대 60조원 규모의 캐나다 잠수함 사업(CPSP) 수주 후보에도 올라 있다.
다만 이번 폴란드 사업에서는 유럽산 무기를 우선 구매하는 유럽연합(EU)의 ‘바이 유러피언’ 정책 때문에 유럽 기업들이 앞서 있다는 평가도 있다. 폴란드 언론 매체 다수는 독일, 이탈리아, 스웨덴 등 3개 국이 잠수함 도입 사업의 선두 주자라고 보도했다. 이들은 모두 폴란드와 함께 EU 및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에 소속돼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의 위협이 현실화하면서 유럽에서는 국방비 지출이 늘어나고, 이에 따른 신규 사업을 따내려는 각국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난공불락' 유럽시장 뚫는 K방산…'이 국가' 도움 절실한 이유 [Focus 인사이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5/a41d0f4d-0def-4103-9068-5c2b86a3e907.jpg)


![[속보] 김정관 산업장관 “대미 진출 기반 마련…사업 기회 확대될 것”](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14/rcv.YNA.20251114.PYH2025111411230001301_P1.webp)
![日 조선업 부활에 민관 1조엔 올인…독금법도 푼다[송주희의 일본톡]](https://newsimg.sedaily.com/2025/11/14/2H0G8KROL3_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