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내란 성공 시 살지 못했을 것…내년 지방선거 생각 없다"

2025-09-15

김민석 국무총리는 15일 열린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지난해 12·3 비상계엄이 성공했을 경우 "살지 못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내란에 성공했다면 김 총리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라고 묻자 이같이 답했다.

이어 박 의원이 '노상원 수첩의 정치인 사살 및 수거 대상 명단에 포함된 것을 보고 어떤 생각이 들었나'라고 묻자 김 총리는 "그럴지 모르겠다는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막상 보고는 조금 섬뜩했다"고 답했다.

김 총리는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노상원 수첩대로 됐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취지로 말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정치적 공방을 하는 경우가 있지만 아주 기본적인 것들을 지켜가면서 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을 평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비상계엄 및 탄핵 과정 전반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났다는 생각"이라며 "'국민의 힘'으로 그것을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을 참으로 감사하게 생각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이 '폭군방벌론'(暴君放伐論·폭정을 일삼은 왕은 축출해야 한다)을 언급하며 '이런 측면에서 윤석열이 축출됐다고 평가해도 되나'라고 묻자 김 총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국민의 뜻을 거스르면 무너진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내란 극복은 지금 대한민국의 가장 큰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 내년 지방선거 출마 묻자 "생각 없다"

한편 김 총리는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이 '내년 지방 선거에 출마하느냐'고 묻자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그것은 왜 물어보나"라고 물었고, 임 의원은 총리니까 물어본다고 답했다. 이에 김 총리는 거듭 "생각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총리는 '대법원장이 물러나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대법원장과 사법부에 대해 국민이 어떤 점에 실망하고 있는가에 대해선 잘 알고 있다"고 에둘러 답변했다.

또 임 의원이 1985년 미국 문화원 농성 사건 및 1989년 미국 대사관 점거 사건을 잇달아 언급하자, 김 총리는 "저 때 일을 지금 국회에서 말씀하시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가 생각하고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