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없는 ‘치쿤구니아열병’ 일주일에 3000명 감염…“모기 안 물리는 게 최선”

2025-08-04

중국 최남단 제조업도시서 감염자 최대

이집트숲모기 원인···고열·관절 통증 동반

당국 “감소세 보이나, 방역 단호 조치”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 지난 일주일 동안 치쿤구니아 열병 확진자 수가 거의 3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당국 “일일 확진자 수는 감소 추세”파악됐다. 다만 최근 확진자 수는 줄어드는 추세라고 당국이 전했다.

4일 남방망에 따르면 광둥성 질병통제국은 지난달 27일 0시부터 3일 0시까지 일주일 동안 성 전체 치쿤구니아 열병 신규 확진자가 2892명 나왔다고 밝혔다. 광둥성은 앞서 지난달 27일 성 전역의 치쿤구니야 열병 확진자가 4824명이라고 밝혔다. 당국이 집계한 지난 3일까지 누적 확진자 수는 총 7716명이다.

최근 일주일 간 확진자 가운데 포산에서 2770명 감염됐다. 포산은 중국 제조업의 중심지이자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유행이 시작된 곳이다. 그 밖의 122명은 광저우·선전·중산·둥관·주하이·허위안·장먼·양장 등지에서 나왔다고 보고됐다.

광둥성 당국은 지난달 29일~이달 2일 기준 가장 감염 상황이 심각한 포산시 순더구의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408명→362명→312명→258명→192명으로 감소세에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중증이나 사망 사례도 없으며 모두 경증이라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치쿤구니야 열병은 이집트숲모기가 옮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열과 심각한 관절 통증 등을 동반한다. 사망에 이를 가능성은 낮지만 65세 이상 고령자와 기저질환자, 신생아 등은 주의가 필요하다. 사람 간 전염 증거는 아직 없다. 신뢰성 있는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예방하려면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중국 당국은 엄정한 대처로 전염병의 확산을 조기 차단하겠다고 나섰다. 왕웨이중 광둥성장은 지난 2일 “힘든 싸움에서 최단 시간 내 승리하기 위해 단호한 조치를 취하라”고 주문했다. 당국은 병상을 대폭 늘렸으며 주민들에게 긴 팔의 옷을 입고 다닐 것을 강조했다. 또 모기 서식을 막기 위해 화분, 커피 추출기, 여분의 물병 등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고 어기면 벌금을 부과하고 있다.

문제는 치쿤구니아열병 유행 지역에 모기 서식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비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광둥성, 구이저우성, 후난성 등 중국 남부지방은 지난 5월부터 큰 비가 내려 일부 지역은 누적 강수량이 700mm를 넘어섰다. 광저우시를 비롯해 광저우 곳곳에서 3일 황색 폭우경보가 내려졌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