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하는 사람들은 흔히 우울할 때 담배가 더 당긴다고 말한다. 과연 그럴까. 우울증 상태에서 담배를 피우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흡연은 뇌 혈류를 저하해 신경세포의 산소 공급을 방해하고, 담배 연기 속 독성 물질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해 치매 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전홍진, 장유진)·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한경도)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2009∼2012년 새롭게 우울증을 진단받은 40세 이상 129만530명을 대상으로 2020년까지 평균 4.26년을 추적한 결과 흡연이 치매 위험을 높이는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6일 밝혔다.

이 기간에 치매 발생이 확인된 우울증 환자는 총 5만8885명(4.56%)이었다.
연구팀은 우울증 진단 이후 흡연 상태에 따라 ▲비흡연 유지군 ▲흡연 시작군▲ 흡연 중단군 ▲지속 흡연군의 4개 그룹으로 나눠 치매 발생 위험도를 살폈다.
이 결과 지속 흡연군(14만1791명)의 치매 발생 위험은 비흡연 유지군(107만3517명)에 견줘 1.34배 높았다. 흡연 중단군(4만8411명)과 흡연 시작군(2만6811명)도 같은 비교 조건에서 각각 1.26배, 1.25배의 위험도를 보였다.
치매의 유형별 분석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전체 치매의 8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경우 지속 흡연군의 위험도는 1.32배로 가장 높았다. 흡연 중단군과 시작군은 각각 1.26배였다.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뇌혈관 손상이 원인인 혈관성 치매는 지속 흡연군이 1.52배, 흡연 중단군이 1.47배로 나타나 흡연의 영향이 더 두드러졌다.
사실 우울증은 단순한 기분 문제가 아니다.
지속적인 슬픔, 무기력, 수면장애, 집중력 저하 등이 동반되는 대표적인 정신건강 질환이다. 평생 유병률이 7∼8%에 이를 만큼 흔하다.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의 뇌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 과다분비와 염증 반응이 일어나며,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해마가 위축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런 변화가 장기적으로 인지 저하를 초래해 치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흡연이 더해지면 상황은 훨씬 나빠진다.
흡연은 그 자체로 혈관을 수축시키고 동맥경화를 촉진해 뇌 혈류를 떨어뜨릴 뿐 아니라, 니코틴과 일산화탄소 등 독성 물질이 신경세포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결국 우울증으로 인한 신경 염증과 흡연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가 상호작용해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의 병태생리를 함께 악화시키는 셈이다.
전홍진 교수는 “우울증 자체가 치매의 전 단계로 작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흡연이 더해지면 신경 염증과 혈관 손상이 가속화된다”며 “우울증 진단 이후의 금연은 뇌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예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정신의학 국제학술지(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최신호에 발표됐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만 인구 10억명 시대 팬데믹급 대응체계 필요" [2025 서경 바이오메디컬 포럼]](https://newsimg.sedaily.com/2025/11/06/2H0CLDA1A6_1.jpg)


!["취약층 고도비만 청소년에 GLP-1 건보 급여 절실" [2025 서경 바이오메디컬 포럼]](https://newsimg.sedaily.com/2025/11/06/2H0CLWL2GK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