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LP-1 계열 약제는 당뇨병, 비만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꾼 혁신적인 신약입니다. 1987년에 GLP-1 호르몬을 발견하고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강력하게 촉진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연구자들은 획기적인 신약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가까운 시일 내에 노벨상 수상이 가능할 것이란 예상도 나옵니다. 그런데 한국에선 정말 필요한 사람들이 혜택을 보지 못하는 역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
김신곤 고려대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6일 열린 제4회 바이오메디컬포럼에서 'GLP-1 기반 신약, 사회적 가치 실현의 새 장을 열자'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비만 치료제를 둘러싼 역설적인 상황을 꼬집었다.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일라이릴리의 '마운자로'는 전 세계 품귀 현상을 빚을 정도로 인기몰이 중이다. 최대 20% 수준의 체중 감소와 혈당 조절 효과는 물론, 심부전 등 심혈관질환과 신부전(콩팥병) 예방 효과를 넘어 심혈관계 사망률과 전체 사망률을 낮춘다는 과학적 근거까지 확보됐다. 김 교수는 "GLP-1이 대사적으로 매우 유익하고 장기보호 효과를 갖춘 데다 궁극적으로 수명까지 연장할 수 있는 획기적인 신약이라는 점은 분명하다"면서도 "다른 신약과 마찬가지로 장기적인 안전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순 없다"고 잘라말했다. 신약은 최소 10년 이상의 처방 경험이 쌓일 때까지 부작용 및 잠재적인 안전성 모니터링과 전문가의 세심한 처방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의사라면 누구나 제약 없이 GLP-1 약물을 처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어, 자칫 약물 오남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시스템을 통해 전송된 비만약 처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마운자로는 7만 383건, 위고비는 8만 5519건 처방됐다. 두 약물을 합산한 월 처방건수는 15만 6000여 건으로, 연간 187만 건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국내 체질량지수(BMI) 30kg/㎡ 이상인 비만 인구는 115만 명, 40kg/㎡ 이상인 초고도 비만은 3만 명에 불과하다. 김 교수는 "고도비만 환자의 상당수는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청소년과 청년들"이라며 "비만하지 않고 건강한 이들이 값비싼 GLP-1 약물을 더 원하고, 정말로 유용한 이들은 약값을 지불할 능력이 없는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말했다.
GLP-1 기반 신약의 가장 큰 이익이 기대되는 그룹은 다양한 심혈관·대사 위험요인을 가진 고도비만 환자들인데, 비싼 약값이 허들로 작용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건강하지 못한 것은 개인 책임만이 아니다"라며 "취약계층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기 힘든 삶의 정황과 환경에 놓여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GLP-1 약물치료가 꼭 필요한 사람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일이 시급하기 때문에 당뇨병과 비만의 중증도, 연령, BMI, 소득수준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거쳐 GLP-1의 건강보험 적용 기준을 정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와 반대로 불필요한 사람들의 진입 장벽을 높이기 위해 GLP-1을 프로포폴 같은 향정신성 의약품처럼 오남용위험 의약품으로 지정해 비급여 처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 갖춰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정말 필요한 사람에게 안전하게 사용해야 GLP-1의 사회적 가치가 극대화될 수 있다"며 "차세대 비만 치료제를 향한 여정에서 국내 기업들이 주인공이 될 것인지, 엑스트라가 될 것인지는 사회적 가치를 얼마나 담아내느냐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비만 인구 10억명 시대 팬데믹급 대응체계 필요" [2025 서경 바이오메디컬 포럼]](https://newsimg.sedaily.com/2025/11/06/2H0CLDA1A6_1.jpg)




![“너는 절대로 하면 안 된다”… 할아버지와 아빠가 ‘이것’에 걸린 원인은? [수민이가 궁금해요]](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2025110650264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