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현정훈, 조은진/ 정리: 이민정
Q.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연출부에서 막내로 일하게 된 박정은이라고 합니다.
Q. 이 영화에 참여하기 전에는 어떤 일을 했나요?
영상에 관련된 자잘한 일들을 하면서. 중계 카메라를 쓰거나, CG 작업을 하거나, 영상에 관련된 편집을 하거나, 이런 식으로 최대한 영상이랑 가까운 일들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Q. 영상 제작 쪽이 최종 목표인가요?
제가 제일 하고 싶은 거는 영화인데, 현실적으로는 못하는 부분이. 아무래도 대구에서는 영화에 관련된 것들이 많이 없어서 제가 최대한 영상 쪽으로 일을 하면서 영화랑 관련된 쪽으로 최대한 일을 해보고 싶어서 선택하게 된 것이 일단은 영상 관련된 직종이었습니다.
Q. 영상 쪽으로 어느 정도 경력이 있는 걸로 아는데 영화 쪽에 지원을 많이 해봤나요?
단편영화, 독립영화에 지원을 해보긴 했었는데 다 잘 안 돼서 여태까지는 영화는 잘 못했습니다.
Q. 어떻게 울산에서 제작하는 영화에 참여하게 됐나요?
같이 일을 했었던 감독님의 소개로 이렇게 좋은 기회가 생겨서 이렇게 참여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Q. 영화 연출부 일은 그럼 처음인가요?
그 감독님과 함께 예전에 드라마 작업을 했던 적이 있어서 연출부 일이 완전 처음은 아닙니다.
Q. 드라마 연출부랑 영화 연출부랑 하면서 좀 차이가 있나요?
전체적으로는 비슷한 것 같습니다. 제가 느끼기에는. 어쨌든 연출을 도와서 하나의 작품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
Q. 이번 영화 연출부는 어땠어요?
몸은 많이 힘들긴 했는데, 그래도 뭔가 계속 새로운 경험을 해보기도 하고. 또 전에 겪었던 경험을 또다시 하면서 뭔가 그래도 예전보다는 조금 발전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면서. 이렇게 많은 분과 더 배울 점이 있는 그런 현장이어서 항상 몸은 힘들어도 퇴근하고 나면 굉장히 재미있는 현장이었다, 이런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Q. 울산 반구대에 와 본 적 있나요?
예전에 일하던 직종 관련으로 여기 와서 연극을 하는 거를 제가 그 뒤에서 일했던 적이 있어서 완전 처음은 아닙니다.
Q. 그때 봤던 반구대랑 지금 촬영하면서 이 속에 있는 반구대랑 다른 점이나 느낀 점이 다를 것 같은데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연극이랑 영화랑 장르가 다르기는 한데, 그래도 반구대암각화 자체는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근데 이제 유네스코로 지정이 되었고, 그런 차이 정도가 있지 않을까?
Q. 촬영하면서 주민들을 많이 만났잖아요. 반구대 안에서 주민들과 함께 촬영하는 게 어떻게 보면 생소한 경험일 수도 있는데. 이런 주민 중심의 영화 촬영 현장에 대한 소감?
굉장히 신기하고 신선하기도 하고. 그리고 생각보다 주민분들이 너무 연기를 자연스럽게 잘하셔서 그것도 너무 신기했습니다.
Q. 촬영하면서 생각나는 에피소드나 그런 게 있나요?
지금 많은 것들이 스쳐 가듯이 생각이 나는데, 제가 촬영감독님의 장비를 하나 부숴 먹은 게 있어서. 그게 좀 강렬하게 생각이 남으니까.
Q. 전공은 어떤 걸 했나요?
영상 관련 전공은 아니었고, 저는 미용 쪽으로 전공을 했었는데, 집안의 반대로 인해서. 옛날에 고등학생 때는 방송, 보도, 이런 쪽으로 일을 하는 걸 좀 원했었는데 부모님이 돈을 버는 직종으로 빨리 일을 했으면 좋겠다고 하셔서 미용 쪽으로 일을 하게 돼서 미용 쪽으로 전공을 하게 됐습니다.
Q. 지금 결국은 영상 일을 하잖아요. 다른 반대나 이런 거는 잘 해결이 됐는지?
반대하실 수가 없는 게, 제가 미용 일을 하다가 몸을 좀 다쳐서 미용을 더 이상 할 수 없게 되어서 다른 진로를 찾다가 제가 해보고 싶었던 걸 한번 해보고 싶다는 말씀을 드려서 이쪽으로 다시 일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Q. 전공이 아닌데 영상 일을 시작하는 게 벽이나 난관이 있었을 것 같아요. 어떻게 영상 일을 시작하게 됐는지, 과정이나 이런 것들 설명 부탁드릴게요.
처음에는 뭐부터 시작해야 할지 잘 모르겠기에 영상 편집을 독학으로 혼자 배우고, 그러고 나서 어느 정도 조금 할 수 있겠다 싶을 때쯤에 대구에서 영상을 만들고자 하는 동아리가 있었거든요. 거기에서 같이 하려는, 배우를 꿈꾸는 분들도 계시고. 그래서 같이 영상도 만들어보고 하면서 조금씩 그런 쪽으로 일을 하려고 많이 노력하게 됐습니다.
Q. 편집이나 영상 촬영, 중계 일도 하고 있다고 했는데요. 어떤 일이 제일 적성에 재밌는지?
재미있는 거는 사실, 이번에 영화 촬영하게 된 순간이 재미있었습니다. 특별히 어떤 순간이라기보다는, 전체적으로 계속해서 제가 여기저기 촬영에 보탬이 되는 순간순간들이 전부 다 저한테는 인상 깊은 순간들이었던 것 같습니다.
Q. 앞으로도 계속 영화 일을 꾸준히 지원하실 의향이 있다는 이야기일까요?
네. 그냥 모든 일을 가리지 않고 열심히 하겠습니다.
Q. 연출부를 하고 싶다는 거는 우리나라 풍토에서 감독을 하고 싶다는 얘기일 텐데?
언젠가, 완전히 먼 훗날에 어쩌면 그렇게 될 수도 있겠지만, 아직까지는 조감독님이 하는 일만 봐도 내가 저런 정도까지는 일을 못 할 것 같은데, 이렇게 생각이 들어서. 조감독님만 봐도 그런데 감독님을 보면 더더욱 아직까지는 너무 멀다. 내가 저 정도까지는 못 감당하겠다 싶을 정도로 하시는 일들도 많으시고. 그 정도로 디테일을 더 넓게 보고 많이 봐야 하는데 아직은 제가 그 정도는 안 되는 것 같아서 차근차근 차곡차곡 배워 나가고 싶습니다. 전공을 이쪽으로 안 한 만큼 더 현장에서 일을 하면서 배워 나가서 많이 배웠다 싶을 때쯤에는 언젠가 또 좋은 감독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언젠가 오는 날에.
Q. 이 작품에 가장 애착 가는 캐릭터가 있나요?
정민. 주인공의 감정선을 따라가다 보니 좀 더 마음이 가는 캐릭터였던 것 같습니다.
Q. 앞으로 만들고 싶은 영상은?
거창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Q. 울산저널 독자들과 우리 영화 관객들에게 마무리 인사하고 마무리할게요.
모든 스태프분과 배우님들이 이렇게 함께 다 같이 모여서 열심히 만든 영화니까 다들 재미있게 봐주세요. 감사합니다.
이민정 기자
[저작권자ⓒ 울산저널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반구대 사피엔스 특집] <반구대 사피엔스> 특집 ⑰ 연출부 김동희](https://www.usjournal.kr/news/data/20251114/p1065624923478850_187_thum.jpg)


![[주간 티빙] 조쉬 하트넷의 액션 코미디 '킬러들의 비행'](https://image.mediapen.com/news/202511/news_1058245_1763113754_m.jpg)

![전쟁이 끝나자 영화가 왔다 [왕겅우 회고록 (19)]](https://img.joongang.co.kr/pubimg/share/ja-opengraph-img.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