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부 의학자가 쓴 신발에 얽힌 욕망과 좌절의 기록
전설만 남기고 별이 되어 떠난 이들의 후일담
[서울=뉴스핌] = 박인은 소설가이자 족부 의학자이다. 소설과 신발 사이에는 무엇이 있을까? 글을 쓰는 한편, 사람들의 발 건강과 그에 맞는 신발을 만드는 박인 작가는 현대판 신기료 장수라 하겠다. 신기료 장수는 설화나 우화에 자주 등장한다. 사람이 걸음마를 시작할 때부터 이승을 떠나는 날까지 신는 신발은 삶의 서사적 상징물이며, 그것을 손질하고 다루는 신기료 장수란 그 삶에 대한 기록자라 하겠다. 한 켤레의 신발에는 그 주인이 지나온 길의 서사가 오롯이 담겨 있으니, 그를 다루는 신기료 장수가 이야기꾼의 전형이라 할 만하다.

과연 박인의 소설집 '사랑의 기원'(청어)에는 여러 길을 지나온 인물들의 서사가 담겨 있다. 이리저리 찢기고 해진 낡은 가죽을 깁고 꿰매 놓은 이야기의 신발들은, 그 안에 깃든 작가의 눈길과 손 속을 가늠하게 한다. 어찌 보면 소설가라는 신기료 장수는 나그네의 신발을 통해 자신이 가지 못한 길들을 욕망하며, 자신을 들여다보는 존재인지도 모른다.
결핍과 좌절, 만남과 충돌, 욕망과 체념이 서로를 보듬고 뒤틀리며 다채로운 서사를 이루어 내고 있다. 그 다채로움은 세상에 대한 작가의 관심과 경험들이 바탕을 이루겠지만, 사람이라는 자신에 대한 미로를 따라가는 실타래일지도 모른다. 결코 단정하거나 규정될 수 없는 자신의 동굴을 걸어가기 위해 작가가 짊어진 여러 켤레의 신발들이 한 권의 소설집으로 묶였다는 생각이 든다. 그 가운데는 읽다가 울컥해진 작품도 있었다.
'소리의 아버지'라는 작품이 그러했다. 익히 알던 인물이 등장하는 이야기일 뿐만이 아니라, 그 소설이 한여름에도 솜으로 누빈 점퍼를 입고 다닐 정도로 한기에 시달리던 시절을 불쑥 소환하고 있었다. 법명이 영어로는 '사운드 오브 사일런스(Sound of Silence)'였던 적음(寂音·시인 최영해의 법명)과 그를 둘러싼 작품 속의 인물들은 오래전에 벗어 던졌던 낡은 신발을 내 앞에 화두처럼 툭 던져 주는 기분이었다.
'나는 한 번 크게 웃지도 못하고 살았다. 인간의 발을 치료하는 직업을 가진 내 앞에 수많은 발이 아파 누워 있었다. 그 발들에 걸리고 치여 오가지도 못했다. 어느 곳에 오래 머물거나 누구에게 매인 적이 없는 그는 인생 길 외로움을 달래 줄 도반을 그리워했다. 아무도 흉내 낼 수 없는 탈속한 저 웃음소리는 법열의 소리였다. 그는 여자 소리로 울고, 남자 소리로 웃는 법을 내게 전해 주었다. 시퍼렇게 날이 선 그의 웃음소리가 이제 하늘에 닿았다. 그러고 보니 그는 내게 침묵의 소리를 보여 준 사람이었다. 아둔하고 미혹한 나는 이제야 겨우 알 것 같다. 내게 저 장엄하고 깊은 마음 내면을 들려주는 그가 소리의 아버지라는 사실을.' -'소리의 아버지' 일부.
그것은 또 다른 세계였다. 너와 내가 따로 있지 않으며, 이야기를 하나의 밥솥에 끓여 먹으며, 미처 글이라는 것을 쓸 틈도 없이 이야기의 바다에 던져졌던 대항해 시대였다. 할머니집, 개미집(흑석동 중앙대 앞에 있던 술집 이름)이라는 함선의 망대에는 괴기스러운 선장들이 막소주를 마시며 앉아 있었다. 기원이 형(소설가 송기원), 상범이 형(소설가 한상범)이라 불리던 망대의 선장들 가운데 적음 선사도 끼어 있었다. 그들은 불립문자의 전설만 남기고 별이 되어 떠나고, 표류하는 배에서 던져져 운이 좋게 뭍으로 기어오른 생존자들 몇몇이 시니 소설이니 하는 후일담을 적고 있었다.
돈도 사랑도 나누고, 공부나 명예라는 것도 있었다면 남김없이 나눠 먹었을 것이다. 신발 속이나 바짓단에 은닉해 둔 비자금도 기어이 찾아서 나누던 원시 문학 공산주의 시절에 며칠째 굶어서 쥐에게 손톱의 그스머리들을 갉아 먹히던 시절에 그는 노가다 현장에 나가 날품을 팔아 동료들의 밥을 지어 먹이던 인물이 있었다.
글로 써야만 시가 되고, 소설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이야기로도 살아가던 '또 다른 세계'를 오랜만에 마주한 감회가 깊고도 신기하다. 11월 22일, 작가와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가 있다 하니, 벗어놓은 구두를 꺼내신고 찾아가 볼 참이다. 글 이시백(소설가). oks34@newspim.com



![[생활에세이] 나무도 보고 숲도 보고](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146/art_17632689560498_754bf7.jpg)

![[詩가 있는 아침] 또, 하나의 별을 따다](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147/art_17633452174408_02d6af.jpg?qs=62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