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합병·노사 갈등 모두 정면 돌파
대한항공 최장수 CEO, 통합 마무리 지휘
내부 결속·노사 소통 '실무형 CEO' 부각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CEO의 일거수일투족은 해당 기업 임직원은 물론 시장 투자자 등 많은 이해관계자의 관심사다. CEO 반열에 오른 사람들은 누구일까. 그들의 활약상을 연중 기획 시리즈로 연재한다.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대한항공은 지난해 아시아나항공과의 기업결합 절차를 약 4년 만에 마무리하면서 글로벌 항공시장 재편 중심에 섰다. 통합 대한항공은 전 세계 10위권 내에 드는 초대형 항공사로 재도약할 기틀을 마련했다는 것이 업계 전반의 평가다.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은 거대한 합병의 후속 과제를 책임지는 인물로 꼽힌다. 단순한 물리적 결합을 넘어 조직 융합과 시너지 창출을 이끌기 위한 '실행형 리더십'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위기를 기회로…'조용한 해결사'의 리더십
우기홍 부회장은 대한항공 역사상 '최장수 CEO'로 이름을 올렸다. 2019년 공동대표에 오른 그는 팬데믹과 경영권 갈등, 대형 M&A 등 잇단 위기 국면에서 흔들림 없이 조직을 이끌며 전문경영인으로서 입지를 굳혔다.
2021년 코로나19 팬데믹이 정점을 찍을 당시, 여객 수요가 급감하자 우 부회장은 조원태 회장과 함께 여객기를 화물기로 전환하는 전략을 주도했다. 특히 좌석을 제거하고 화물 적재 공간으로 개조한 '카고 시트백(Cargo Seatback)' 방식은 수익성 방어에 결정적이었다.
그 결과 대한항공은 2020~2022년 세계 주요 항공사 중 가장 빠르게 흑자 전환에 성공했고, 2022년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인 2조8836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경영 안정화 과정에서도 그는 조용한 역할을 수행했다. 2019년 고(故) 조양호 회장 별세 이후 경영권 승계 국면에서 조원태 회장과 각자대표 체제를 꾸리며 조직 안정을 도모했고, 아시아나항공과의 통합 과정에서도 노사 간 갈등을 최소화하며 조율자 역할을 맡았다.
우 부회장은 1962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에서 경영과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1987년 대한항공에 입사해 경영기획실과 비서실을 거친 뒤 뉴욕여객지점장과 미주지역본부장 등을 역임하며 글로벌 경험을 쌓았다. 이후 여객사업본부장, 경영전략본부장을 맡아 서비스 품질 개선과 전략 수립을 진두지휘했다.
현재 그는 위기 대응 경험과 조직 내 신뢰를 바탕으로 대한항공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아시아나항공과의 완전한 통합이라는 과제를 안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조용한 해결사'로 불리는 그의 경영 스타일이 대한항공의 미래 비전 실현에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한다.
◆실질적 통합…남은 과제는 '내부 결속'
우기홍 부회장의 다음 과제는 실질적인 조직 통합이다. 법적 합병은 완료됐지만, 브랜드 일원화, 노선 재편, 인력 구조 조정 등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특히 노조와의 협력은 가장 민감한 이슈 중 하나다. 우 부회장은 통합을 앞두고 대한항공 노조를 각각 만나 간담회를 여는 등 선제적으로 소통에 나섰다. 현장의 신뢰를 확보하려는 행보로 풀이됐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노선이 겹치는 만큼 이를 얼마나 합리적으로 재편할 수 있을지도 주목되는 부분 중 하나다. 초대형 항공사의 핵심 장점인 규모의 경제를 효율적으로 살려야 수익성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어서다.
다만, 네트워크 확대는 매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지만, 동시에 노선 독점과 관련된 우려도 존재한다. 향후 공정거래 이슈나 소비자 반발 등도 고려해야 하는 만큼 공공성과 수익성 사이에서 균형 잡힌 전략이 필요하다.
◆조직문화 중심의 리더십…'하나 된 항공사'로
최근 우 부회장은 내부 결속 강화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 4월 경기도 부천종합운동장에서 노조 창립 61주년을 기념하는 '한마음 페스타'를 개최했다. 'Journey Together(함께 떠나는 여정)'라는 슬로건 아래 열린 이 행사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임직원 및 가족 4000여 명이 참석했다.

우 부회장은 당시 축사를 통해 "글로벌 항공업계를 선도하는 길에는 도전과 난관도 있을 것"이라면서도 "노사가 상호 신뢰하며 하나로 협력해 나간다면, 그 여정은 더욱 의미 있고 강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겉으로 드러나는 카리스마보다는 내실 있는 소통과 신뢰를 중시하는 리더로 통한다. 내부 불안을 최소화하고 공동체 의식을 높이기 위한 조직문화 중심 리더십을 실천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위계 중심의 항공업계에서 현장 직원들과 직접 대화하며 의견을 수렴하려는 행보는 심리적 안정감과 동기부여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항공 내부에서 우 부회장은 위기 대응력과 전략적 판단력을 갖춘 '조용한 리더'로 꼽힌다. 우 부 회장의 조용한 리더십이 통합 대한항공의 다음 도약을 실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