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대형 시중은행 종사자 수가 1년 새 약 1300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속화되는 비대면·디지털화 계기로 은행들이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가운데, 은행원들도 퇴직금 수령으로 대처하는 모습이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올 상반기 기준 은행 임직원 수는 총 5만 3794명을 기록해 지난해 상반기 5만 5066명 대비 약 1272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별 감소 폭을 살펴보면 △신한은행 532명 △KB국민은행 473명 △우리은행 180명 △하나은행 87명 순으로 많았다.

은행권의 희망퇴직 직원 수는 매년 2000명대를 오르내리고 있다. 실제 5대 시중은행의 희망퇴직 직원 규모는 △2022년 2357명 △2023년 2392명 △2024년 1987명 등으로 나타났다. 그동안의 전례를 놓고 볼 때 올해도 희망퇴직자가 2000명을 넘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처럼 1년 새 은행원 숫자가 줄어드는 건 은행들이 디지털화를 가속화하면서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하는 동시에 채용 규모도 과거보다 줄이고 있는 까닭이다. 특히 주요 금융거래를 창구거래 대신 은행 애플리케이션으로 대체하게 되면서, 은행들의 인력 구조조정이 더욱 심화되는 모습이다.
은행원들이 '억대연봉'에도 불구 퇴직행렬에 뛰어드는 건 파격적인 퇴직금도 한 몫 한다. 올해 상반기 5억원 이상을 수령한 보수 지급액 상위 5명 임직원 대다수는 퇴직자였다.
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에서 올 상반기 부점장급에서 근무하다 퇴직한 5명은 급·상여와 퇴직금 등으로 총 10억 3100만~11억 2000만원을 수령했다. 국민은행에서는 조사역과 팀원으로 퇴직한 5명이 보수 지급액 상위 명단에 이름을 올렸는데, 8억 7600만~9억 96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신한은행에서도 보수 지급액 상위 5명 중 직원 4명은 지점장 등을 맡던 퇴직자였는데, 퇴직금과 급·상여 등으로 9억 1200만~9억 2500만원을 수령했다. 우리은행의 보수 지급액 상위 5명은 모두 부장대우의 희망퇴직자였는데, 이들은 각 9억 100만~9억 9600만원의 급·상여, 퇴직금 등을 확보했다.
이 같은 대규모 퇴직금 지급 여파로 희망퇴직자의 연령대도 점차 낮아져 30대까지 내려왔다. 과거에는 50대 직원이 중심이었는데, 최근에는 40대 직원들이 희망퇴직자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부 은행에서는 30대 직원도 희망퇴직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은행권은 인력 감축과 함께 영업점 구조조정에도 속도를 올리고 있다. 올해 상반기 4대 은행의 국내 영업점 수는 총 2708곳으로, 1년 전 2834곳 대비 약 126곳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