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혜진(178cm, G)의 수비 영향력은 확실히 컸다.
농구는 공격수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스포츠다. 그리고 득점을 많이 하는 선수가 스포트라이트를 많이 받는다. 주득점원이 높은 연봉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코칭스태프는 ‘수비’를 강조한다. “수비가 되면, 공격은 자동적으로 풀린다”고 하는 사령탑이 많다. 그래서 코칭스태프는 수비에 집중하고, 기회를 얻고자 하는 백업 자원들도 ‘수비’부터 생각한다.
사실 기자도 ‘공격’에 집중했다. ‘누가 어시스트했고, 누가 득점했다’가 기사의 90% 이상을 차지했다(사실 100%에 가깝다). 그래서 관점을 살짝 바꿔봤다. 핵심 수비수의 행동을 기사에 담아봤다. 기사의 카테고리를 ‘수비수의 시선’으로 선택한 이유다.

# INTRO
부산 BNK는 2023~2024시즌 종료 후 FA(자유계약) 시장에 뛰어들었다. 그리고 박혜진(178cm, G)과 김소니아(178cm, F)를 영입했다. 두 선수의 공수 밸런스와 노련함을 팀에 주입시키려고 했다.
특히, 박혜진의 비중은 코트 안팎으로 높았다. 우리은행 6연패 왕조의 핵심이었고, 2022~2023시즌과 2023~2024시즌에도 우리은행의 우승 세레머니를 함께 했다. 공격과 수비 모두 리그 정상급으로 해냈기 때문이다.
박혜진의 수비는 그 중에서도 특별하다. 2024~2025 챔피언 결정전에서 빛을 발했다. 우리은행의 에이스인 김단비(180cm, F)를 어느 정도 제어했다. 김단비의 위력을 반감시켰다. 덕분에, BNK가 ‘창단 첫 플레이오프 우승’을 차지할 수 있었다.
‘디펜딩 챔피언’인 BNK는 2025~2026시즌 첫 경기를 인천 신한은행과 치른다. 정규리그 30경기 중 1경기라고는 하나, ‘공식 개막전’이다. 그렇기 때문에, 박혜진의 수비가 더 중요하다. 박혜진이 수비를 잘 해내야, BNK가 2025~2026시즌을 잘 시작할 수 있다.
# Part.1 : 라인업 변수
BNK의 첫 상대인 인천 신한은행은 미마 루이(185cm, C)를 부상으로 잃었다. 신지현(174cm G)과 최이샘(182cm, F) 또한 길게 활용할 수 없다. BNK의 수비 부담이 확 줄었다. 박혜진도 마찬가지였다.
박혜진의 매치업은 김지영(170cm, G)이었다. 그렇지만 김지영에게 바짝 붙지 않았다. 김지영의 짧은 슛 거리를 인지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도움수비를 생각했다. 골밑 수비와 리바운드를 더 탄탄히 하기 위해서였다.
박혜진의 수비 시선은 넓었다. 그렇지만 BNK 수비는 박혜진 없는 곳에서 흔들렸다. 무엇보다 공격 실패 후 신한은행의 빠른 역습을 저지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BNK는 1쿼터 종료 2분 전 8-13으로 밀렸다. 그리고 11-15로 1쿼터를 마쳤다.
# Part.2 : 수비력 급상승
박혜진은 1쿼터 내내 많이 움직였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팀원들과 상대 팀을 신경 써야 했다. 박혜진의 피로도가 컸다. 이를 인지한 박정은 BNK 감독은 2쿼터 시작 37초 만에 박혜진을 벤치로 불렀다.
김소니아(178cm, F)가 수비 중심을 잡아줘야 했다. 김소니아도 이를 인지했다. 그런 이유로, 시선을 여러 곳으로 분배했다. 그러나 신한은행의 볼 없는 스크린에 홍유순(179cm, F)을 놓쳤다. 너무 허무하게 실점했다.
박혜진이 코트로 나설 준비를 했다. 2쿼터 종료 4분 58초 전 코트로 다시 들어갔다. 쉼 없이 뛰었던 김소니아와 바통 터치를 했다.
박혜진은 김진영(177cm, F)을 막았다. 김진영을 3점 라인 밖으로 밀어냈다. 김진영의 골밑 공격과 공격 리바운드를 최소화하려고 했다.
그러나 BNK는 스몰 라인업이었다. 협력수비를 해야 했고, BNK의 골밑 수비는 균열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다. 박혜진도 예외는 없었다.
하지만 박혜진은 도움수비 요령과 타이밍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또, 도움수비에 최적화된 동선을 빠르게 설정했다. 그러자 BNK의 수비망도 더 쫀쫀해졌다.
그리고 박혜진은 신한은행의 패스 경로를 예측했다. 이를 스틸과 아웃렛 패스로 연결했다. BNK도 신한은행과 균형을 순식간에 깼다. 32-27로 전반전을 마쳤다.

# Part.3 : 수비의 힘
박혜진은 신한은행의 공격 패턴(위브 액션 : 앞선 공격수들이 엇갈리며 움직이는 패턴)을 예측했다. 김소니아의 수비 미스 또한 눈치챘다(?). 홍유순의 백 도어 컷을 절묘하게 블록슛. 김소니아의 잘못된 수비를 불식시켰다.
박혜진은 탑에서 신한은행의 패스를 가로챘다. 그 후 왼쪽 윙으로 서서히 침투했다. 노 마크 찬스임을 확인한 후, 3점을 던졌다. 박혜진의 3점이 림을 관통했고, BNK는 39-31로 달아났다. 수비로 공격한 박혜진은 주먹을 불끈 쥐었다.
박혜진을 포함한 BNK 선수들은 수비 로테이션을 더 기민하게 했다. 신한은행 공격수들보다 더 빠르게 반응했다. 그래서 BNK 수비가 빈틈을 보이지 않았고, BNK의 실점 속도가 확 떨어졌다. 동시에, 득점 속도가 확 빨라졌다.
공수 밸런스를 맞춘 BNK는 3쿼터 종료 3분 16초 전 50-34로 달아났다. 박혜진의 수비 시선은 여전히 날카로웠다. 동료가 힘싸움에서 밀리는 걸 보자, 박혜진이 멀리서 달려와 블록슛. 신한은행의 기를 또 한 번 꺾었다. BNK를 승리와 가깝게 했다.
# Part.4 : 수비가 일깨운 것
BNK는 52-38로 4쿼터를 시작했다. 여자농구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14점’은 더 큰 점수 차였다. BNK의 ‘수성’이 더 중요했다.
BNK는 허무하게 노 마크 찬스를 내주기도 했다. 그러나 그런 사례는 드물었다. 박혜진이 허술한 수비를 경계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BNK의 수비와 박스 아웃은 4쿼터 초반에도 단단했다. 기반을 탄탄히 한 BNK는 경기 종료 5분 전에도 57-41로 앞섰다. 그리고 65-54로 신한은행을 무너뜨렸다.
박혜진의 수비 지표 또한 좋았다. 11개의 리바운드(공격 2개 포함)와 5개의 스틸, 2개의 블록슛을 해냈다. 이는 모두 양 팀 최다 기록에 해당된다. 박혜진의 수비 영향력이 그만큼 컸기에, BNK도 ‘창단 첫 공식 개막전 승리’라는 전공을 세울 수 있었다.

사진 제공 = WKBL
[저작권자ⓒ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게임 리포트] 김소니아의 ‘의욕’과 ‘에너지’, 그리고 ‘간결함’](https://basketkorea.com/news/data/20251116/p1065597174448766_241_thum.jpg)
![[BK 리뷰] ‘2~3Q 41-23’ BNK, 신한은행 제압 … 창단 첫 공식 개막전 승리](https://basketkorea.com/news/data/20251116/p1065595900699264_401_thum.jpg)

![[BK 리뷰] 하나은행의 늪 농구, 정규리그 우승 팀도 빠뜨렸다!...하나은행 홈 개막전 축포](https://basketkorea.com/news/data/20251117/p1065613234706879_910_thum.jpg)
![[바둑] 랴오위안허, 딩하오 꺾고 삼성화재배 첫 우승](https://img.newspim.com/news/2025/11/17/2511171720072410.jpg)
![[PGA] 2017년 데뷔 솅크, 강풍 부는 벼랑서 '드라마같은 우승'](https://img.newspim.com/news/2025/11/17/251117133117164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