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리한 세상 고발한 해외 연극 3편... 무대 오른다

2025-10-29

고용 불안 그린 블랙코미디 '더 클래스'

일본 부조리극의 대명사 '부서진 풍경'

사랑이 와해된 세상 풍경, '술 취한 사람들'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해외에서 주목받은 연극 3편이 우리 무대에 오른다. 슬로베니아 출신 극작가 마트야스 주판치치의 '더 클래스', 일본 부조리극의 대명사인 베쓰야쿠 미노루(別役実)의 '부서진 풍경', 러시아 극작자 이반 비리파예프의 '술 취한 사람들'이 그것이다. 실업공포, 극단적인 개인화, 고용불안의 시대를 고발한 작품들이다.

연극 '더 클래스'(마트야스 주판치치 작, 백순원 연출)는 해고 위기에 몰린 계약직 노동자가 정규직 전환을 위해 '재교육 세미나'에 참가하면서 벌어지는 블랙코미디다. 고용 불안의 시대, 청년뿐만 아니라 중장년층의 고민을 무대 위에 펼쳐 보인다.

이 작품은 경기 침체, A.I로 대체되는 산업 구조 개편 등으로 파상되는 노동시장의 변화를 배경으로 한다. 불안정한 일자리 구조와 재교육 시스템이 개인을 어떻게 압박하는지를 보여 준다. '품질 좋은 인적 자원'이 되기 위해 몸부림치는 인물들의 처절한 생존기는 권력과 자본에 종속된 현재 대한민국 노동시장의 현실과도 맞닿아 있다.

슬로베니아 출신 극작가 마트야스 주판치치의 작품으로, 작가는 자국 최고 권위의 희곡상인 그룸상(Grum Award)을 다섯 차례 수상한 거장이다. 지구 반대편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정규직을 갈망하는 청년의 절실함을 담은 서사는 오늘날의 대한민국의 현실과 다르지 않다. 이정국, 임향화, 유준원, 이혜진, 구자환, 이윤주, 정지환. 10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서울예술창작센터 서울씨어터 202.

창작 집단 오늘도 봄이 연극 '부서진 풍경'을 오는 11월 6일부터 16일까지 대학로 씨어터 조이에서 선보인다. 1976년 일본에서 초연된 이 작품은 현대 일본 연극의 거장 베쓰야쿠 미노루(別役実)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작품은 전후 일본의 리버럴리즘을 배경으로 형성된 '개인화로 인한 무책임'의 담론을 바탕으로, 개인이 집단의 이름으로 책임을 회피하며 스스로를 정당화하는 사회 구조의 모순을 예리하게 포착한다.

이야기는 한낮의 평화로운 피크닉 장소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그곳을 우연히 차지한 인물들의 대화는 끝없이 어긋나고 순환하며, 일상의 사소한 일들이 점점 낯설게 변해 간다. 작가는 익숙한 일상의 풍경 속에서 인간의 부조리와 자기 합리화를 부조리극 특유의 모호한 언어와 블랙코미디로 풀어냈으며, 관객들은 웃음 속에서 서서히 스며드는 불안과 공허를 마주하게 된다. 번역은 정상미가 맡았으며, 이자령, 고병택, 최영도, 정서연, 남기용, 양정화, 설재서 등 개성과 연기력을 겸비한 배우들이 출연해 탄탄한 앙상블을 선보인다.

2025 퍼포먼스온과 남x권x최 프로젝트의 '술 취한 사람들'(연출 남상식, 공동 연출 권영호, 최종원)이 오는 11월 20일부터 30일까지 문래예술공장 박스씨어터에서 공연된다. 이반 비리파예프의 2012년 작으로, 국내에는 처음 소개된다. 퍼포먼스온의 남상식 연출은 2017년 같은 작가의 '일루전'이라는 작품으로 그의 작품을 국내에 소개한 바 있다. 러시아 출신의 문제작가 이반 비리파예프(1970~ )는 '에피소드의 몽타주'라는 작품 특징을 갖고 있는데, 그 난해한 구조 속에서도 신박하게 현대의 와해된 가치와 사랑 그리고 신(神)이라는 주제를 늘어놓는다.

취한 사람들의 퍼포먼스를 보여 주는 연극 '술 취한 사람들'은 서사극적 게스투스와 노래를 활용하여 '설치'된다. 흡사 인형처럼 움직이며 노래하듯 중얼댄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고독한 모습을 재현한다. 이번 공연은 2025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원로예술인 공연 지원 사업으로 제작되며, 8명의 배우 중 4명이 오랜 경력의 원숙한 배우로 구성된다. 곽수정, 김명중, 이윤표, 한기중, 해수, 함민구, 이성하, 최종원 출연. oks3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