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짝퉁 업체를 찾아내 법원까지 끌고 가서 법적인 판단을 받는 데 무려 3년이 넘게 걸렸습니다. 하지만 재판 끝에 받은 배상액은 우리 돈으로 고작 5000만 원 수준이었습니다. 짝퉁 업체가 그간 올린 수익과 우리가 들인 노력, 시간을 비교하면 말도 안 되는 처벌이죠.”
최근 만난 한 기업 대표는 이같이 말하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은 전 세계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한국보다 해외에서 더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짝퉁 제품에서부터 교묘하게 흉내 낸 제품들이 해외 마트와 오픈마켓 등에서 버젓이 판매돼 고충을 겪고 있다고 했다.
한국 제품을 둘러싼 짝퉁 논란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의 경우 외관만으로는 정품과 구분하기 힘들 정도의 짝퉁이 중국 등에서 활개 치고 있다. 일본에서는 까르보나라 불닭볶음면의 ‘핑크색’ 포장지에서부터 ‘볶음면’이라는 한글까지 새긴 유사 제품을 현지 라면 기업이 대놓고 출시해 논란이 됐다. 화장품도 예외는 아니다. 오픈마켓에서는 중국에서 제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짝퉁 화장품이 꾸준히 발견된다.
문제는 제품 베끼기를 당한 개별 기업의 피해는 물론 ‘K브랜드’ 이미지까지 타격을 받는다는 점이다. 가짜 K푸드나 K뷰티를 접한 해외 소비자들이 제품에 실망하고 K브랜드 자체를 외면하는 사이클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짝퉁 생산과 유통 자체를 막아야 하지만 쉽지 않다. 짝퉁 제조 업체를 발견해 신고하더라도, 이들이 바로 회사를 폐업하고 새로운 업체를 차리기 때문이다. 법적 대응에 나서도 오랜 시간 끝에 쥐꼬리만 한 배상금을 받는 정도다.
‘K푸드’와 ‘K뷰티’는 단순한 유행이나 열풍을 넘어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이자 자산이 됐다. 이제 필요한 것은 정부와 기업이 합심해 이를 지켜 나가는 일이다. 정부가 K브랜드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수출 지원과 마케팅 강화에 집중하고 있을 뿐 브랜드 보호나 해외 지식재산권 침해 등에는 소홀하게 대응하고 있다. K브랜드의 가치를 지키고 실질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외교적 채널과 법률적 협력 체계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