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는 11월 14일 중소기업디엠씨타워(서울 마포구 소재)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기후·환경 혁신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올해 7월부터 두 달간 열린 ‘인공지능 기반 기후·환경 혁신 아이디어 공모전’의 우수사례를 시상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공모전은 고품질의 환경행정을 제공하고 행정업무를 자동화하는 등 수요자 중심의 혁신 아이디어를 찾기 위해 열렸다.
공모전 대상은 ‘인공지능 플랫폼을 통한 도시하천 수질환경 예측·해결 모델(LX플랫폼사업처)’이 선정됐다. 이 아이디어는 수질 측정망과 사물인터넷 센서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녹조나 악취 발생 가능성을 미리 예측하는 시스템이다. 지자체가 선제적으로 이 아이디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최우수상은 ‘위성·수문 데이터 융합 인공지능 기반 녹조 선행 예측 및 최적 대응 시스템(김이련)‘이 받았다. 이 아이디어는 위성·기상·수문 데이터를 최신 인공지능 학습기술(CNN+LSTM 딥러닝 모델)로 분석해 녹조 발생을 14일 전에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상은 ’미세플라스틱 오염원 역추적을 위한 인공지능 분광분석 플랫폼(이정숙)’이 선정됐다. 이 아이디어는 최첨단 적외선 분광(Raman·FT-IR 스펙트럼) 기술을 활용해 미세플라스틱 시료의 오염원을 확률적으로 역추적할 수 있다.
이밖에 장려상은 △인공지능과 넛지로 시민의 탄소감축 행동을 유도하는 행동 데이터 기반 앱(그린무브ON), △스마트 도시 자원 순환을 위한 통합 인공지능 플랫폼(판다스), △효율적인 수해폐기물 수거를 위한 실시간 우선순위 산출(제로수거) 등 3편이 뽑혔다.
박소영 기후에너지환경부 정책기획관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인공지능과 환경데이터가 실제 문제 해결에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본보기들이 다수 발굴되었다”라며, “앞으로 ‘행정 디지털 전환(AX)’과 ‘녹색 전환(GX)’의 연계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내역




![[IT서비스학회 추계학술대회] 'IT서비스 공로대상'에 이봉규 연세대 교수…단체·개인 혁신상 대거 시상](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2/news-p.v1.20251112.7412d3a5f9074fbc9bdb28e714c037a5_P1.jpg)


![[에듀플러스]다차원영상기술표준화 포럼, GISC 2025에서 과기부 장관상 수상](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2/news-p.v1.20251112.5fe135ace3ca45e8823b7cb03afcac4b_P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