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주 데일리 이슈(11.5)] 매입형 역RP 유동성 공급, 고량주 소비촉진, 국제수입박람회 등

2025-11-05

이 기사는 11월 5일 오전 09시2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와 중국 유력 경제매체 거룽후이(格隆匯)에 따르면, 11월 5일 중국 본토 A주와 홍콩증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이슈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정책·경제·산업 중요 이슈

1. 인민銀 '매입형 역레포'로 141조 유동성 공급

11월 5일 중국 인민은행은 고정수량·금리입찰·다중가격 낙찰 방식으로 7000억 위안(약 141조2700억원) 규모의 매입형 역환매조건부채권(매입형 역레포) 거래를 실시한다. 기간은 3개월(91일)이다.

이번에 3개월물 7000억 위안 규모의 역레포가 만기에 도래하는 것을 고려할 때, 이번 조치로 11월에는 3개월물 매입형 역레포의 '동규모 연장'이 이루어지게 되는 셈이다.

11월에 전체적으로 1조 위안 규모의 매입형 역레포가 만기를 맞았으나, 중앙은행은 올해 6월 이후 매달 두 차례에 걸쳐 서로 다른 만기 형태의 매입형 역레포를 시행해왔다.

현지 전문기관들은 중앙은행이 이번 3개월물에 이어 이달 안에 6개월물 매입형 역레포를 한 차례 더 시행할 것으로 예상, 11월에도 유동성 공급(순유입)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한다.

'매입형 역레포'는 지난해 10월 28일 인민은행이 도입한 새로운 유동성 공급 수단이다.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으로부터 채권 등 유가증권을 직접 매입하고, 지정된 날짜에 금융기관이 다시 해당 증권을 되사는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다. 은행 시스템의 유동성을 유지하고, 금융시장에 안정화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레포는 '질권형 역레포(담보부 역레포)'와 '매입형 역레포'로 나뉘는데,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소유권의 이전 여부다. 담보부 역레포의 경우 채권 등 담보 자산의 소유권이 이전되지 않기 때문에 인민은행이 해당 채권을 계속 보관하고 있어야 하나, 매입형 역레포의 경우 소유권이 거래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이전되기 때문에 중앙은행은 역레포 기간 동안 해당 담보 자산을 자유롭게 팔고 살 수 있다. 만기가 되었을 때 해당 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면 되는 것이다.

2. 귀주성 '고량주 소비 촉진 방안 마련'

귀주(貴州)성 상무청은 <'술 판매'에서 '라이프스타일 판매'로의 전환 촉진에 관한 지도의견(의견수렴안)>을 공개했다.

해당 의견수렴안에는 소비 패턴 변화와 산업 발전 추세를 충분히 파악해 고량주(백주) 소비의 새로운 모델, 새로운 상황, 새로운 업계 생태계를 구축하고 고량주 시장의 신성장 동력을 육성하며, 이를 통해 귀주성의 고량주 산업의 발전을 이끌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고량주 수출 3년 행동계획과 지침을 제정하고 해외시장 개척 방안을 마련하며 몰입형 체험, 맞춤형 서비스, 디지털 기술 등을 결합하는 혁신적인 생태계를 구현할 계획이다.

한편, 귀주모태의 주력 제품인 페이톈(飛天) 마오타이의 전자상거래 보조금 적용 판매가는 가격 결정 하한선의 기준점이 되는 공식 참고가인 1499위안 수준까지 하락했다.

3. 제8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 '최첨단 기술' 주목

제8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CIIE)가 5일 개막해 10일까지 상하이(上海)에서 개최된다.

이번 박람회 전시 면적은 36만7000㎡ 이상이며, 참가 기업 규모는 지난해 3496개에서 600여 개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500대 기업과 업계 선두기업 290곳이 참석하며, 전시 면적과 참가 기업 규모 모두에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무엇보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다양한 최첨단 기술 제품이 선보여질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으로 테슬라 전시관에는 로보택시 '사이버캡(Cybercab)'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처음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테슬라 상하이 지역 손자저(孫嘉澤) 총책임자는 "사이버캡은 공기 저항이 매우 낮고 전력 효율이 높아 1킬로와트시(kWh)당 약 10km를 주행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사이버캡은 2026년 2분기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며, 무선 충전 기술과 로봇 팔 자동 세척 기능으로 무인 운행 환경에 대비했다.

같은 전시관에는 테슬라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도 함께 공개된다. 최근 영상을 통해 공개된 이 로봇은 청소, 진공청소기 조작, 물건 집기, 용접, 하역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테슬라는 2026년 말부터 생산을 시작해 2030년 연간 100만 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3세대 모델은 2026년 1분기 출시될 예정이다.

◆ 주목할 중국증시 상장사 뉴스

① 바오써주식(300402.SZ) : 언론에서 보도된 2 메가와트(MWt) 토륨 기반 용융염 원자로(TMSR-LF1) 프로젝트에 자사는 참여한 바 없다고 밝힘. 바오써주식은 최근 A주에서 랠리를 펼치고 있는 토륨 원전 테마주의 대표 종목으로 금주 들어 이틀 연속 상한가 기록.

② 난석중장비(603169.SH): 회사의 사업 중 미세채널 열교환기와 판형 열교환기 제품만이 핵융합 분야에 일부 응용되지만, 매출 비중은 0.1% 미만으로 매우 낮다고 밝힘. 대표적인 토륨 원전 테마주로서, 최근 4거래일 중 3거래일 상한가 기록.

③ 트리나솔라(688599.SH) : 산하의 에너지저장 사업부가 Pacific Green과 전력망급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BESS)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함.

④ 화영과기(603855.SH) : 4000만~1억2500만 위안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

⑤ 비주얼차이나(000681.SZ) : 홍콩 증권거래소 상장을 위해 H주 발행을 추진 중.

⑥ 화개이백(300592.SZ) : 부회장 장쥔차오(莊俊超), 최소 3000만 위안 규모의 자사주 매입 예정.

⑦ 중정과기(003026.SZ) : 주주 융기실리콘자재(601012.SH)가 보유지분 중 최대 387만6400주를 감축할 계획.

⑧ 장원전력(000966.SZ) : 10월 발전량 21억4900 kWh 기록,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2.25% 감소한 수치임.

⑨ 정주우통버스(600066.SH) : 올해 누적 완성차 판매량 3만6596대로, 전년 동기 대비 5.87% 상승.

⑩ 국기자동차(600335.SH) : 푸링(涪陵) 하이테크 산업단지 신에너지 자동차 경량화 부품 공장 및 스마트 생산라인 프로젝트(1기)에 낙찰.

⑪ 세레스(601127.SH) : 5일 홍콩증시 상장. H주 공모 최종 발행가는 주당 131.50 홍콩달러(HKD)로 정해졌으며 발행 수량은 약 841만9000주로 일부 초과배정옵션(그린슈)이 행사됨.

pxx17@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