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9개월 만에 국채 매입을 재개했다.
5일 중국증권보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은 10월에 200억 위안(4조 원) 규모의 국채를 순매입했다고 발표했다. 인민은행이 실물경제를 지원하고 통화 및 재정 정책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장에 유동성을 방출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앞서 판궁성(潘功勝) 인민은행장은 지난달 27일에 열린 금융가 포럼에서 "현재 채권시장이 전반적으로 잘 운영되고 있으며, 공개시장에서 국채 매매 작업을 재개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중신(中信)증권은 "국채 매수는 인민은행의 유동성 유지와 채권시장 안정 운영 목표를 반영하고 있다"며 "200억 위안의 매수 규모는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채권시장에 과도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충분한 유동성 공급을 목적으로 인민은행이 국채 매수 규모를 확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중앙은행은 불경기인 상황에서 경기 부양 차원에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국채를 매입한다.
인민은행은 경기 부양을 위해 지난해 8월 국채 매수를 시작했으며, 12월까지 5개월 동안 1조 위안 규모의 국채를 순매수했다.
인민은행은 지난 1월 10일 발표문을 통해 "국채 매입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국채 매입 중단의 이유로는 채권시장 내 수요 공급의 불균형을 지목했다.
국채시장에서 수요가 높아지면서 채권 가격이 오르고 수익률(금리)이 낮아지자 인민은행은 시장 왜곡을 염려해 국채 매입을 중단한 것이다.
국채 수익률이 낮아지면 중국 국채와 해외 국채 간 금리 차가 벌어지고, 이는 위안화 약세 혹은 자본 유출 리스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인민은행이 국채 매입을 중단하자 중국 채권시장의 수익률이 점진적으로 회복되었으며, 이로 인해 인민은행이 국채 매입을 재개할 조건이 형성됐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자산운용사인 둥팡진청(東方金誠)은 "현재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1.8%로 상승했으며, 채권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며 "인민은행의 국채 매입은 올해 4분기와 내년 1분기 거시경제의 안정적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ys1744@newspim.com

!["높은 수익률·선순위 안전성 확보…유럽 부동산 투자 최적 시기 왔다"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04/2H0BP7FDHU_1.jpg)
![[채권/외환] AI 거품 우려에 미 국채 강세… 비트코인·나스닥 동반 급락](https://img.newspim.com/news/2021/05/21/210521044251301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