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프리즘* 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6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
[주요 이슈 브리핑]
■ 대기업 오픈이노베이션: 롯데그룹이 400~500억 원 규모 2호 펀드를 조성하며 KDB 오픈이노베이션펀드 후속 조성에 나선 첫 대기업이 됐다. 이에 따라 단순 지분 투자를 넘어 롯데쇼핑·롯데이노베이트 등 주요 계열사와 스타트업 간 직접 협력을 통한 AI 등 혁신 사업 개발이 본격화되며, 창업자들에게는 대기업 파트너십 구축과 사업 검증의 절호 기회가 열리고 있는 상황이다.
■ 대미 투자 프로그램의 글로벌 진출: 한미 양국이 합의한 2000억 달러 대미 투자에서 미국 진출 한국 기업에 우선권이 부여되며 상업적 합리성과 캐시플로우 창출 가능성이 투자 기준으로 확정됐다. 또한 기업들이 자체 자금 조달 없이도 미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새로운 파이낸싱 방법이 생겨, 스타트업들도 글로벌 확장 시 자금조달 부담을 줄이고 미국 시장 기회를 적극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다.
■ AI 인프라 수요 폭증: 오픈AI 700조 원·메타 850조 원 투자 계획과 에이전틱 AI 확산으로 SK하이닉스 HBM 등 AI 가속기 필수 메모리는 생산 전 물량이 모두 계약되는 품귀 현상이 급심화되고 있다. 한편 최태원 SK회장이 AI 팩토리를 통한 생산 효율 혁신과 엔비디아 옴니버스 활용을 제시하며, AI 관련 스타트업들은 반도체 공급망 변화와 AI 인프라 투자 급증을 사업 기회로 전환해야 하는 시점이다.
[스타트업 창업자 관심 뉴스]
1. “스타트업과 상생” 롯데, 500억 이노베이션 펀드 만든다
- 핵심 요약: 롯데그룹이 주요 계열사 자금으로 400~500억 원 규모 '롯데-KDB오픈이노베이션펀드 2호'를 조성하며 한국산업은행이 100억 원 이상 출자에 나선다. 롯데쇼핑·롯데이노베이트·롯데GRS·롯데홈쇼핑 등이 참여하고 롯데벤처스가 운용을 맡으며 연내 결성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1호 펀드로 베어로보틱스·글래스돔·케어닥 등 40여 개 스타트업에 투자했고 롯데알미늄·롯데호텔·롯데건설 등과 구체적 협력 사례를 발굴한 바 있다. 2호 펀드는 롯데이노베이트 등 계열사의 AI 사업 관심을 반영해 AI 스타트업이 주요 투자 대상이 될 전망이다.
2. 산업장관 “2000억弗 대미 투자, 韓 기업에 우선권”
- 핵심 요약: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한미 합의 2000억 달러 대미 투자 프로그램에서 미국 진출 한국 기업에 우선권이 부여된다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위원장인 투자위원회와 김 장관이 위원장인 협력위원회가 2000억 달러 사용에 대해 동의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특히 김 장관은 “2000억 달러 집행의 기준은 상업적 합리성, 즉 캐시 플로우(cash flow·현금 흐름)가 창출 가능한 사업”이라고 덧붙였다.
3. 자회사 중복상장 부담…SK·한화, IPO 올스톱
- 핵심 요약: 중복 상장 비판 여론이 거세지면서 한화에너지는 3월 주관사단 선정 후 IPO 추진을 사실상 중단했고 SK플라즈마도 넉 달 넘게 주관사를 선정하지 않고 있다. 한화에너지는 한화석유화학이 분할한 여수열병합발전이 전신으로 오너 3세가 100% 지분을 보유하며 그룹 승계의 열쇠로 꼽혔으나 진행을 사실상 중단했다. SK그룹 역시 올해 중순 SK이노베이션은 자회사인 SK엔무브의 코스피 상장 계획을 접는 대신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SK온과 합병을 결정하며 한 발 물러섰다.
[스타트업 창업자 참고 뉴스]
관련기사
- 정보가 독자를 찾아갑니다 …서울경제, 맞춤형 뉴스 ‘AI 프리즘‘ 서비스
 - AI가 찾아준 ‘나를 위한 뉴스’… 독자 맞춤형 뉴스 시대 도래
 - 서울경제, AI로 독자 맞춤형 뉴스 시대 연다… ‘AI PRISM’ 시동
 - "알바도 못 구하는 청년들" 제조업 일자리 1년 내내 줄었다…‘디지털키’ 띄우는 LG이노텍 “통신부품으로 1.5조 번다” [AI 프리즘*대학생 취준생 뉴스]
 
4. 최태원 “폭발적 수요로 AI칩 품귀…‘AI 팩토리’로 솔루션 찾을 것”
- 핵심 요약: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 AI 서밋'에서 오픈AI 700조 원·메타 850조 원 등 폭발적 AI 인프라 투자와 에이전틱 AI 확산으로 AI 수요 예측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또 그는 AI 인프라를 위한 메모리 반도체와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얼마나 더 필요할지 예측조차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폭발적인 AI 수요 증가로 메모리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도 심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AI 가속기에 필수인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은 만들기도 전에 모든 물량의 계약이 끝나고 있다고 한다.
5. 트럼프 “中·엔비디아 거래 허용…최첨단 칩 수출은 불허”
- 핵심 요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엔비디아 거래는 허용하되 최첨단 반도체 수출은 불허하겠다며 2년 내 미국이 전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40~50%를 차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중국 전용 칩 'B30A' 개발로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며 미국 정부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막 나온 엔비디아 새 블랙웰을 다른 사람들에게 주지 않을 것"이라 말해 한국의 블랙웰 26만 장 도입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6. 해외서 인정한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 국내도 허가
- 핵심 요약: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엑스코프리’가 미국·유럽 등에서 연 5000억 원 이상 판매되며 국내에서 41번째 신약으로 허가받았다. 2019년 미국 FDA 허가 후 6년 만의 국내 허가로 해외 누적 처방 환자가 14만 명을 넘어섰다. 이번 허가로 미 FDA 허가 6년 만에 국내에도 출시하게 됐으며 국내 판매는 동아에스티가 맡는다.


▶기사 바로가기: P2P대출 6% 늘어 역대 최대…대출규제 강화에 실수요 몰려

▶기사 바로가기: 與 “정년 65세 입법안 연내 추진”…경영계 “청년 일자리 위축” 우려

▶기사 바로가기: 최태원 “폭발적 수요로 AI칩 품귀…‘AI 팩토리’로 솔루션 찾을 것”






![당국, 5조 규모 ‘조선·녹색산업’ 스케일업 펀드 추진 [AI 프리즘*스타트업 창업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6UZC04_1.jpg)



![샘 올트먼 “710조 스타게이트, SK 반도체 공급 없인 불가능”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4/2H0BMHVEIX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