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가 선수들의 SNS 피해에 대해 강경 대응하겠다고 나섰다.
선수협회는 4일 “지난 달 20∼24일 선수를 대상으로 SNS 피해 실태 설문조사를 했고 163명이 참여했다”며 “현재 상황을 방치하면 SNS 악용 사례는 더욱 고도화되고 광범위하게 확산할 위험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향후 발생하는 비상식적인 악성 사례들을 ‘SNS상에서 이뤄지는 사이버 테러’로 규정하고 협회 차원에서 강경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설문 결과 SNS 피해는 해당 선수의 팀이 지거나 선수가 실책을 범한 직후(56%) 가장 많이 발생했다. 특정 상황을 가리지 않고 시즌 내내 이어진다는 응답도 15%에 달했다. 피해 대상은 선수 본인(49%), 부모(31%), 배우자 또는 여자친구(13%) 순이었다. 가해 유형은 경기력 비난(39%), 가족이나 지인 비방(29%) 등이었다.
피해 양상은 스트레스(36%), 경기력 저하(14%), 수면·식욕 저하(11%)로 이어지지만, 선수들의 대응방식은 무시 또는 감수(39%), 차단·댓글 신고(28%), 댓글·메시지 수신 제한 등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선수협회는 “살해 협박, 성희롱, 고인(가족) 모독, 스토킹·주거 침입 등 형사 범죄에 해당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며 “피해 선수를 대리해 법적 절차를 밟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야구위원회(KBO)도 선수의 SNS 피해 예방과 후속 조치를 고민하고 있다. 다음 주 경찰청 관계자와 만나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