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 중 맛집 검색도 AI가…LG유플, 통화 앱에 AI 비서 탑재

2025-11-13

LG유플러스가 통화 중에도 인공지능(AI) 비서를 호출해 실시간으로 AI 검색 결과를 답변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국내 통신사 중 통화 앱에 AI 검색 기능을 적용한 첫 사례다.

무슨 일이야

LG유플러스는 13일 서울 종로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사 통화 앱 ‘익시오’에 새로 추가되는 ‘익시오 AI 비서’ 서비스를 공개했다.

이전까지 익시오는 통화 내용을 텍스트로 기록하고 요약하는 기능만 제공했다. 익시오 AI 비서는 통화 중에도 “헤이, 익시”라고 호출하면 대화에 참여해 사용자가 요청한 질문의 검색 결과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LG유플러스는 올해 말까지 비공개 테스트를 마친 뒤, 내년 1분기 이내에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이 기능을 공개할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익시오 AI 비서를 구글과 공동 개발했다. 구글의 LLM(대규모 언어모델) ‘제미나이2.5플래시 라이브’를 미세조정(파인 튜닝) 해 AI가 통화를 방해하지 않고도 바로바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최윤호 LG유플러스 AI에이전트그룹장은 “통화 도중에도 정보를 찾을 수 있는 AI 기능은 (우리가)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어떻게 쓰는데

익시오 AI 비서는 통화 중에 평소 쓰는 말(자연어)로 AI를 호출한 뒤, 궁금한 질문을 던지면 즉각적으로 답을 얻을 수 있다. 이날 공개한 시연 영상에서 최 그룹장이 직원과 통화 중에 “헤이 익시”라고 말하자, AI 비서가 호출됐다. “이번 주말 날씨가 어떻게 돼?”라고 질문하자 AI 비서는 “이번 주말은 맑고, 최고 기온은 15도, 최저 기온은 3도입니다”라고 답했다.

LG유플러스 측은 “고객 중 매일 135만 명 가량이 통화 중에 정보를 검색하고 이걸 상대방에게 공유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고 설명했다. 통화를 하다 스마트폰을 보면서 검색 앱을 실행하고, 검색한 내용을 복사해 메신저 앱에 상대방과 공유하는 과정 등이 포함된다. 익시오 AI 비서가 도입되면 이 과정에 앞으로 ‘통화 중 AI 호출→명령’으로 간소화되는 것이다.

경쟁사와의 차이는

LG유플러스는 AI의 빠른 검색 속도를 차별점으로 내세웠다. 이전까지 AI 모델이 음성을 처리하기 위해선 3가지 과정을 거쳐야 했다. 음성을 텍스트로 바꿔주는 STT(스피치 투 텍스트)를 거쳐 LLM이 이를 이해한 뒤, TTS(텍스트 투 스피치) 기술을 통해 텍스트를 음성으로 바꿔줬다. 반면 LG유플러스는 AI에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데이터를 바로 연산해서 음성을 출력하는 구글의 VTV(보이스투보이스)를 활용했다. 이를 통해 명령어 처리 시간을 기존 8초에서 3초까지 단축했다.

이 과정에서 AI가 무분별하게 통화 내용을 저장하지 않도록 ‘온 디바이스 기반 음성인식(STT)’ 기술도 적용했다. AI 비서를 호출하기 전까지의 대화 내용은 스마트폰 내부에 저장된다. AI를 호출한 뒤 나오는 음성 데이터만 구글 클라우드로 전송된다. 이진혁 LG유플러스 익시오 개발태스크장은 “통화 내용 전체를 암호화해서 저장하는 기술도 올해 안에 개발을 마무리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스마트폰이 해킹당해도 통화 내용은 열람할 수 없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앞으로는

이날 간담회에서 LG유플러스는 내년에 공개할 ‘익시오 3.0’의 개발 방향도 발표했다. 현재 통화 중 검색에 특화한 AI 기능을 AI 에이전트(비서) 기능으로까지 확장할 방침이다. 개인 맞춤형 AI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이다. 사용자가 누구와 자주 통화하고 어떤 내용을 말하는지 AI가 먼저 파악한 뒤, 대화 맥락에 맞춰 이메일 작성, 식당 예약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이다. 이용자가 직접 원하는 서비스만 골라서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는 ‘에이전트 빌더’도 내년에 공개할 계획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