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아연의 유상증자 과정에서 부정거래를 한 혐의를 받는 유상증자 모집주선인 증권사들을 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최근 고려아연과 관련해 경찰이 영풍·MBK파트너스에 악의적인 댓글을 남긴 누리꾼을 검찰에 송치하는 등 수사기관이 잇따라 고려아연에 칼 끝을 겨누는 모양새다.
법조계에 따르면 4일 오전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합동수사부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KB증권과 하나은행, 중구 소재의 미래에셋증권 본사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PC와 내부 문건 등 증거 자료를 확보했다. 검찰은 지난 4월에도 고려아연 본사와 미래에셋증권, KB증권 본사 등 사무실 6곳과 관계자 주거지 5곳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검찰은 지난해 10월 30일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등 경영진들이 자사주 공개매수 후 발행주식의 20%에 육박하는 2조 5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자본시장법을 위반했다고 보고 수사를 하고 있다. 당시 미래에셋증권은 유상증자 대표 주관사였으며 KB증권은 공동주관사였다.
앞서 해당 사안을 들여다보던 금융감독원은 혐의를 포착한 뒤 검찰에 해당 사건을 패스트트랙으로 이첩했다. 금융감독원은 고려아연이 ‘공개매수 당시 재무 구조에 변경 계획이 없다’고 발표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유상증자를 결정해 투자자들에게 책임을 떠넘겼다고 봤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고려아연 측에 증권신고서를 정정하라고 요구했고, 이 여파로 고려아연은 유상증자를 철회했다. 최 회장도 책임을 지고 이사회 의장 자리를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경영권 분쟁을 겪고 있는 고려아연과 영풍·MBK는 법적 분쟁과 주주총회서의 갈등 뿐만 아니라 장외 여론전에서도 난타를 주고받고 있다. 이달 13일 서울 종로경찰서는 영풍·MBK에 대한 기사에 악의적인 댓글을 작성한 혐의를 받는 누리꾼을 특정해 검찰에 송치했다. 앞서 영풍·MBK는 고려아연 공개매수가 시작된 지난해 9월부터 자신들에 대한 기사 4000여 건에 부정적 댓글과 게시글이 집중적으로 작성됐다며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바 있다. 이에 경찰은 지난 3월 네이버 등을 상대로 IP와 인적사항을 제출받기 위해 압수영장을 집행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개인적으로 영풍·MBK 측에 불만을 가지고 악성 댓글을 작성한 인물을 특정해 송치를 한 상황”이라며 “다만 해당 인물은 고려아연 관계자는 아니며, 고려아연이 조직적으로 댓글 부대를 운영한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검찰, '유상증자' 고려아연·미래에셋·KB증권 추가 압수수색[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04/2H0BNE0555_2.jpg)






![[단독]검찰이 압수한 코인 범죄 수익, 관리 기준 마련 않는 사이 백억원씩 출렁인다](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04/news-p.v1.20240111.661d9281eef44723b507b2480fb4bf12_P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