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돼지띠' 고3 등의 영향으로 지원자 7년 만에 최다
김창원 수능 출제위원장 "적정 난이도 문항 고르게 출제
[미디어펜=이희연 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13일 전국 85개 시험지구 1,310개 시험장에서 일제히 시작됐다.
이번 수능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1교시 국어영역, 2교시 수학영역, 3교시 영어영역, 4교시 한국사 및 탐구(사회·과학·직업)영역, 5교시 제2외국어/한문영역 순으로 진행된다.
일반 수험생 기준으로 오전 8시 40분에 시작해 오후 5시 45분에 끝난다.
2022학년도부터 도입된 문·이과 통합형 수능 체제는 올해도 유지된다.

이번 수능에서도 이른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기조가 이어진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고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할 방침을 밝힌 바 있다.
2026학년도 수능 출제위원장인 김창원 경인교육대학 교수는 이날 시험 시작 후 열린 출제 방향 브리핑에서 "고교 교육 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춰 적정 난이도 문항을 고르게 출제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사교육에서 문제 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수능엔 전년보다 3만1504명(6.0%) 늘어난 총 55만4174명이 지원했다. 총응시자 수로는 2019학년도(59만4924명)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다.
재학생이 전년보다 3만1120명 증가한 37만1897명(67.1%),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는 2246명 늘어난 2만2355명(4.0%)으로 집계됐다. 졸업생은 1862명 감소한 15만9922명(28.9%)이다.
특히 재학생 응시자는 출산율이 이례적으로 높았던 '황금돼지띠'인 2007년생이 올해 고3으로 수능을 보면서 지난해보다 9.1%(3만1120명)나 급증했다.
한편, 이날 치러진 수능시험에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 신청은 이날부터 17일 오후 6시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 이의 신청 전용 게시판에 하면 된다.
평가원은 심사를 거쳐 25일 오후 5시 정답을 확정해 발표한다.
성적 통지표는 12월 5일 수험생에게 배부된다.




![[수능] 출제본부 "국어, 교과서 기초해 출제…시험 준비 부담 경감"](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3/2025111350828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