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상용화 당장은 어려워…부분 로봇부터 경제성 입증돼야" [서울포럼 2025]

2025-05-28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는 아직 먼 단계로 우선은 부분·전문 영역 로봇 중심의 경제성이 입증돼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서울포럼 2025에서 나왔다.

28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25’ '초인간 혁명: 휴머노이드의 시대로' 세션에 나온 김병수 로보티즈 대표이사는 "휴머노이드가 한 번에 상용화 되는 것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상체, 팔, 다리 로봇 등 특수 분야, 부분 로봇이 먼저 상용화 돼야 한다"고 전망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형 로봇의 다른 말로 로봇 기술의 집약체로 평가받는다. 다만 생산비용이 크고 기술 장벽이 높아 시장성이 부족하단 평가를 받는다.

관련기사

  • 싱가포르국립대 AI연구소 "데이터 덜어야 AI 더 정확해져" [서울포럼 2025]
  • 포스트 빌바오, 이번엔 멤피스…낙후한 블루스 도시 바꾼 이 것 [서울포럼2025 픽셀앤페인트]
  • “AI가 AI를 만드는 시대… 한국, 아직 늦지 않았다” [서울포럼 2025]

이날 패널로 나온 한재권 에이로봇 최고기술책임자(CTO)도 "단계적으로 인건비 상승과 (휴머노이드 로봇) 비용 감소에 따라 기술도 진화될 것"이라며 "현재까지는 로봇 팔 하나가 두 개로 확장되는 협동로봇부터 바퀴가 달리면서 자율주행로봇이 되듯, 단계별로 발전해야 궁극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이 나올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봇산업 성장은 우선 시장성이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고 패널들은 평가했다. 김 대표는 "로봇에 투입하는 시간, 노력, 비용이 인건비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며 "현재는 산업용 로봇이나 전문 서비스 로봇 분야가 막 피어나는 단계"라고 했다.

한 CTO는 "다만 의료쪽 로봇은 수요가 너무 강력해서 ROI(투자수익률)이 충분히 나올 수 있어"라며 "(의료분야) 인건비 상승도 높아 의료분야 로봇은 시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국방 분야 로봇과 같은 전문적인 영역부터 상용화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