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페어링’ 팟캐스트
인공지능(AI)이 당신을 불안하게 만드는가?
스탠퍼드대 인간 중심 인공지능연구소가 지난 4월 발간한 『AI 인덱스 2025』에서 응답자 중 50%가 ‘그렇다’고 대답했습니다. 같은 항목에 39%가 동의했던 2년 전과 비교하면 AI가 인간의 삶을 더 위협하고 있는 건 분명해요. 이런 시대에 살아남으려면 어떤 능력을 갖춰야 할까요.

트렌드 분석가이자 경영전략 컨설턴트인 김용섭 소장(날카로운상상력 연구소)은 “내년엔 ‘인간력’을 갖추지 못한 사람이 일터에서 밀려나기 시작할 것”이라며 “과거엔 기계처럼 열심히 하는 직원이 중간관리자·임원으로 승진했다면, 이제는 그것만으로는 안 된다”고 전망합니다. 요즘 잘나가는 글로벌 기업에서도 이 능력을 제일 강조한다고 해요. 도대체 인간력은 무엇이고, 이를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김 소장은 2013년부터 『라이프 트렌드』 시리즈를 통해 산업과 소비의 변화를 내다보고 있습니다. 김 소장은 2026년 핵심 키워드로 ‘인간력’ 외에 ‘블루칼라 로망’을 꼽아요. 이제는 ‘공부 잘하면 화이트칼라, 공부 못 하면 블루칼라’라는 구시대적인 선입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합니다. 요즘 젊은 세대는 서울대 나와도 취업이 안 돼 고민하는 선배들을 보면서 새로운 분야를 찾아나서기 시작했어요. 앞으로 어떤 직업이 떠오를까요?
또 ‘경험 사치’를 이해해야 2026년 돈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디지털과 아날로그를 모두 경험한 40~50세대가 유리하다는데, ‘뉴스페어링’과 내년을 미리 내다보세요.

이런 내용을 담았어요💡
📌‘인간 맞아?’ 이 질문 답해야 산다
📌야구장 몰려가는 Z세대, 4050 전성기다
📌일‘만’ 잘하는 관리자는 곧 잘린다
📌‘AI 대부’가 찍은 미래 최고 유망 직업
📌ADHD가 ‘스펙’이 되는 시대
🎤진행 : 박건 기자
🎤답변 : 김용섭 날카로운상상력 연구소장
2026년을 관통하는 첫 번째 키워드로 ‘인간 증명’을 꼽았다.
우리는 요즘 살면서 한 번도 받아본 적 없는 질문을 받고 있다. ‘당신 사람 맞습니까?’ 글을 쓰든, 사진을 찍든, 영상을 만들든 모두가 결과물을 보고 같은 질문을 한다. 진짜 사람이 만든 건지, 아니면 AI가 만든 건지 의심한다. 신문에도 ‘AI가 쓴 글, 사람과 구별 안 된다’는 제목의 기사가 자주 실린다.
![“AI 시대에는 ‘문제발굴력’이 교육의 핵심 돼야” [AI 프리즘*대학생 취준생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6IWP52_1.jpg)

![[사설]전문인력 해외 이탈 막을 대책이 시급하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03/news-a.v1.20251103.0c388db41cd94aa2bf86574cce728fb2_T1.jpg)
![[이내찬교수의 광고로보는 통신역사]〈44〉일본은 27명의 노벨상, 그런데 우리는 왜?: 한 우물 긴 여정](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31/news-p.v1.20251031.b0be28e6c57d4d25837e2053fae8cb3c_P1.jpg)

![젠슨 황 '치맥 회동'이 재계에 던진 신선한 충격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https://newsimg.sedaily.com/2025/11/02/2H0ASC31VL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