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이 코드명 ‘프로젝트 카이퍼’로 불러왔던 위성인터넷 서비스 명칭을 ‘레오(Leo)’로 확정하고 사업 확장 채비를 갖췄다. 제프 베이조스가 소유한 블루오리진의 화성 탐사용 로켓 ‘뉴 글렌’ 발사 성공을 발판 삼아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본격적인 ‘우주 전쟁’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현지 시간) 테크크런치는 아마존이 ‘프로젝트 카이퍼’에 ‘레오’라는 정식 명칭을 붙였다고 보도했다. ‘레오’는 인터넷용 위성이 지구 저궤도(Low Earth Orbit)에 머문다는 점에 착안한 이름이다. 레오는 아마존이 2019년부터 추진해온 프로젝트다. 스페이스X가 상업화에 성공한 스타링크처럼 지구 저궤도에 위성을 띄워 기지국 없이 안테나만으로 세계 각지에서 위성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아마존은 그간 실험용 위성 150여 기를 우주 궤도에 띄우며 사업 점검과 확장을 준비해왔다. 궁극적으로는 위성 3200여 개를 띄워 지구 전역에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마존 위성인터넷 사업이 지지부진했던 배경에는 발사체 부족이 있다. 아마존이 궤도에 올린 150여 개 위성 중 절반은 경쟁사인 스페이스X 로켓을 이용해 우주를 향했다. 베이조스의 블루오리진이 상업용 위성을 궤도에 띄울 만한 로켓을 완성하지 못했던 탓이다. 스페이스X가 일찌감치 위성용 발사체를 상용화해 현재 스타링크 위성 1만여 개를 띄우고 2030년 4만 개 발사를 목표로 삼은 점과 대비된다.
이런 가운데 최근 블루오리진이 ‘뉴 글렌’ 로켓으로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 임무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며 상황이 바뀌었다. 뉴 글렌은 나사 화성 탐사용 위성 2개를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렸을 뿐만 아니라 부스터 회수도 첫 실증했다. 아마존이 ‘관계사’ 블루오리진을 통해 보다 저렴하게 위성을 쏘아올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셈이다.
스페이스X가 발사체뿐만 아니라 위성인터넷 사업에서도 강력한 경쟁자를 맞이하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레오는 후발 주자이지만 대형 단말 기준 최대 인터넷 속도가 1Gbps(초당기가비트)로 수백 Mbps(초당메가비트) 수준인 스타링크보다 빠르다. 에어버스와 미국 저가항공사 제트블루 등 대형 고객사도 확보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세계 최대 클라우드인 만큼 ‘지상 인터넷 인프라’가 탄탄하다는 점도 주목된다.



![‘딥시크’보다 가성비 좋은 중국 AI…GPT5 앞선 ‘키미 K2 씽킹’[팩플]](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7/19904d66-9022-4f28-b4ca-ac11fbfc44a6.jpg)
![[AI의 종목 이야기] 구글 인도에 '공격 투자' 데이터센터 허브 부상](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