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AI로 돈 버는 2개 엔터주 ② 스포티파이 3가지 전략 '홈런'

2025-11-06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프리미엄 매출 성장 지속

월가 추가 상승에 무게

이 기사는 11월 6일 오후 2시3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스포티파이(SPOT)도 기존의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에 AI 생성 콘텐츠를 통합하는 전략으로 가시적인 실적 향상을 이룬 업체다.

시장 전문가들은 개인화된 플레이리스트와 디스커버리 위클리(Discovery Weekly), AI DJ 등 AI 기반 기능들이 올해 업체의 프리미엄 서비스 매출의 강력한 성장을 이끌어냈다고 판단한다.

지난 2분기 스포티파이의 프리미엄 매출액과 구독자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씩 증가했고, 잉여현금흐름(FCF)은 같은 기간 44% 급증했다.

AI 기능들은 스포티파이에 긍정적인 성장 선순환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월가는 강조한다. 생성형 AI가 만든 플레이리스트와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은 업체가 사용자 선호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 같은 기능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스포티파이의 AI 시스템을 개선하고, 사용자 만족도를 높여 프리미엄 AI 기능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프리미엄 구독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프리미엄 매출이 비용보다 빠르게 늘어나면서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3% 급증했다.

AI를 축으로 한 선순환이 궁극적으로 스포티파이의 수익성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이 2분기 실적을 통해 확인된 셈이다.

경영진은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의 재구축에 나섰고, 이는 스포티파이에 커다란 기회라는 사실이 이미 데이터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실적 발표 자리에서 구스타브 소더스트롬 최고제품기술책임자는 "AI 투자가 서비스의 개인화를 완전히 새로운 수준으로 도약하게 할 것"이라며 "아직 최고의 순간이 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업체가 개인화에 더 깊이 파고들면서 프리미엄 구독의 강력한 수요와 잉여현금흐름(FCF)을 대폭 향상시킨 것은 우연이 아니다. 투자은행(IB) 업계는 스포티파이의 잉여현금흐름이 2029년까지 59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강력한 프리미엄 매출 성장과 프리미엄 플랜의 가격 인상 가능성, 여기에 비용 레버리지에 대한 기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업체는 3분기에도 월가의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달성했다. 보도에 따르면 3분기 매출액이 42억7000만유로로 투자은행(IB) 업계의 전망치 42억3000만달러를 넘어섰고, 주당순이익(EPS) 역시 3.28유로를 기록해 예상치 1.97유로를 큰 폭으로 앞질렀다.

스포티파이는 지난 8월 아시아와 중동, 아프리카, 유럽, 남아공 등 주요 지역에서 구독료를 10.99유로에서 11.99유로로 인상했다. 3분기 프리미엄 매출은 환율 변동을 감안할 때 13% 급증했다.

4분기 전망치는 월가의 기대에 못 미쳤다. 스웨덴에 본사를 둔 업체는 4분기 매출액을 45억유로로 예상했는데 이는 월가 전망치인 45억6000만유로에 미달하는 수치다. 프리미엄 구독자 전망 역시 2억8900만명으로, 애널리스트의 예상치 2억9110만명을 하회했다.

스포티파이의 개인화 추천 알고리즘은 머신러닝과 AI를 기반으로 한 '디스커버 위클리'와 릴리즈 레이다(Release Radar)가 핵심 축이다. 해당 알고리즘은 자동 플레이리스트와 추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들의 취향을 분석한 뒤 맞춤형 추천을 제시한다.

업체는 협업 필터링(CF)과 자연어 처리(NLP), 오디오 분석 등 다중 AI 모델을 적용해 수십억 건의 사용자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고, 추천의 품질을 높이는 한편 사용자의 체류 시간과 서비스 충성도 상승을 이끌어내고 있다.

스토리 텔링과 자동 생성도 스포티파이의 AI 전략으로 꼽힌다. NLP 기술을 이용해 창의적인 플레이리스트 제목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청취 패턴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음악 탐색의 즐거움을 극대화 한다는 분석이다.

업체의 AI 활용 영역에는 마케팅과 수익도 포함된다. 추천 시스템을 통해 아티스트 노출 빈도와 스트리밍 수를 극대화하는 한편 AI 추천 노출 시 스트리밍 횟수가 10배 이상 증가하기도 했다.

이 밖에 스포티파이는 AI 기술을 자사의 AI DJ 기능에 접목했다. AI DJ는 사용자들의 취향을 분석해 마음에 들 만한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해 준다.

업체는 AI 서비스 확대를 위해 전방위로 나서는 움직임이다. 미국 IT 전문 매체 CNET에 따르면 지난달 업체는 소니와 유니버설, 워너 등과 새로운 AI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들 음반사들이 스포티파이와 함께 'AI 음악 제품'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는 얘기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제작된 AI 음악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스포티파이 측은 AI 혁신이 아티스트의 권리를 보호하고 창의적인 선택을 존중하는 한편 팬들이 좋아하는 음악을 발견하고 즐길 새로운 방식을 창출하는 데 파트너십의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2006년 창사 후 약 20년 사이 세계 최대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성장한 스포티파이는 음악과 오디오 콘텐츠 중심의 사업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압도적인 입지를 확보한 데 이어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수익 모델을 대폭 강화하는 움직임이다.

1억곡 이상의 거대한 음아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업체는 6억7500만명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와 2억6300만명에 달하는 유료 구독자를 확보, 고음질과 오프라인 저장 등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전체 매출액 가운데 월 구독료를 기반으로 한 광고 없는 유료 서비스의 비중이 87%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업체의 2분기 매출액은 약 42억달러로, 전년 동기에 비해 10.14% 늘어났다. 같은 기간 업체는 8600만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42달러로 집계됐다.

일부에서는 생성형 AI의 저작권 문제를 잠재적인 리스크로 지목한다. 스포티파이의 새로운 파트너십이 생성형 AI와 공정 이용, 저작권법 등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달아오른 시점과 맞물리면서 관련 쟁점이 다시 한 번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연초 디즈니와 유니버설은 AI 이미지 생성기 미드저니(Midjourney)가 저작권 있는 캐릭터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다.

앞서 뉴욕타임스(NYT)가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FT)를 대상으로 자사 기사들이 오픈AI의 거대언어모델(LLM) 훈련 데이터에 무단 사용됐다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두 가지 법정 다툼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스포티파이 주가는 11월5일(현지시각) 620달러에 거래를 종료해 연초 이후 35.43% 올랐고, 최근 1년 사이 62% 상승했다.

번스타인은 11월5일자 보고서를 내고 업체의 목표주가를 830달러로 제시하며 '시장 수익률 상회' 투자 의견을 내놓았다. 최근 종가 대비 약 34% 상승 가능성을 예고한 수치다.

shhwa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