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경 "성평등부 조직 개편, 명칭 넘어 실질적 구현 위해 노력"

2025-11-04

성평등위, 성평등부 조직개편 이후 첫 국정감사

"아동·청소년 성 착취 피해자 자립지원수당 지원 계획"

"인프라 부족 지역 청소년 특화 지원사업 더욱 확대"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조직 개편 이후 첫 국정감사에서 단순 명칭 변경에 그치지 않고 성평등 가치가 사회 전반에 실질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원 장관은 4일 국회 성평등가족위원회 국감에서 "지난달 1일 실질적 성평등 실현을 위해 기존 여성가족부의 기능과 조직을 확대, 개편해 '성평등가족부'가 새로이 출범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국감에서 앞서 이뤄진 원 장관의 업무보고에 따르면, 성평등부는 조직 개편 이후 성평등정책실과 고용평등정책관을 신설, 성평등 정책 추진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청년세대의 성평등 인식격차를 완화하고 성별 불균형 해소를 위한 부서도 신설했다.

또한 노동시장 내 성평등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고용평등임금공시제' 도입을 추진 중이며, 원하는 누구나 마음껏 일할 수 있도록 전국 159개 새일센터를 통한 고부가가치 직업훈련과정을 확대하는 등 취·창업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원 장관은 "이번 조직 개편이 단순한 명칭 변경에 그치지 않고 성평등 가치가 사회 전반의 정책과 제도 속에 실질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젠더폭력 측면에서는 중앙과 지역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해 피해자 보호·지원을 내실화했다고 밝혔다.

원 장관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딥페이크 성범죄물을 탐지하고, 사업자에게 자동으로 삭제요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 고도화도 추진 중"이라며 "지난 9월에는 스토킹‧교제폭력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주요 대책, 과제에 대해 관계부처 합동 점검도 진행하고 성폭력, 가정폭력 등 젠더폭력 피해자들이 시설 퇴소 후에도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자립지원금 등 경제적 지원을 확대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부터는 아동‧청소년 성착취 피해자들에게 자립지원수당도 신규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청소년 정책 부문에서는 "디지털 일상화로 미디어 과의존이 심화된 청소년들을 조기에 발굴, 치유하기 위해 진단조사와 상담치유프로그램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도 청소년들이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인구감소지역 특화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라며 "내년부터는 청소년의 자기 주도적 활동과 참여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원 장관은 "성평등부로 확대 개편에 따른 국회, 현장, 국민들의 기대와 목소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해야 할 정책을 세심히 살펴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역설했다.

jane94@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