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입은 K푸드]정부, K-푸드 테크에 날개 단다

2025-07-15

정부가 푸드테크 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오는 12월 '푸드테크 산업 육성법' 시행을 앞두고 인재 양성·기반 인프라·기술 표준화 등 핵심 정책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새정부 '진짜성장전략'에도 푸드테크는 미래 농산업 전환을 이끌 핵심 분야로 포함됐다.

푸드테크는 스마트농업, 그린바이오와 함께 차세대 농식품 신산업을 구성하며 기능성·대체식품 중심의 기술개발과 수출 확대를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전략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지역 거점 중심의 실증 인프라도 하나씩 모습을 갖춰가고 있다. 포항 식품로봇 연구지원센터가 첫 삽을 떴고, 익산(식물기반식품), 나주(식품업사이클링), 춘천·과천(개인맞춤형식품), 의성(세포배양식품) 등 6곳에 기술 분야별 거점센터가 추가 조성 중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총 10개소 구축을 목표로 삼았다.

산업을 뒷받침할 전문 인재 양성도 탄력을 받고 있다. 올해 부산대가 푸드테크 계약학과로 지정됐고 전국 9개 대학에서 석사과정이 운영된다. 재직자들이 현장 기술 과제를 수행하는 실무형 프로그램으로 설계해 정부가 등록금과 과제비 일부를 함께 지원한다.

기술 기반 조성은 산업 생태계 전반을 아우른다. 조리로봇, 3D프린팅, 스마트레시피 등 주요 기술군을 중심으로 제조·유통·조리 전 과정에 대한 표준 체계 구축이 진행 중이다. 정부는 이를 '전주기 통합표준'으로 확장해 식품기술 산업 전반의 기반 규격으로 정립할 방침이다.

기업 성장 단계에 맞춘 지원 체계도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스마트농업, 푸드테크, 그린바이오를 하나의 산업군으로 통합하고 기술·인재·R&D·자금 지원을 연계하는 구조를 마련했다. 기업 성장 단계에 따른 맞춤형 지원 체계도 병행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푸드테크를 식품산업 고도화뿐 아니라 사회적 과제 해결 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가공식품 물가 안정을 위한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디지털 기술 기반의 원가 절감과 유통 혁신 방안을 함께 논의 중이다.

푸드테크 산업 육성법은 오는 12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이에 맞춰 농식품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인프라, 인재, 기술개발, 제도 정비를 아우르는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후 연차별 시행계획(CNP)을 통해 세부 이행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기본계획은 산업 전체를 조망하는 종합 전략”이라며 “시행계획에는 센터 구축, 인력 양성, 기술지원 등 실행 과제가 구체적으로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