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가능성’ 발언 이후 중국과 일본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내 일본여행 수요가 급감하고 있다. 중국 관광객 사이에선 대체 여행지로 한국이 떠오르고 있는 모양새다.
20일(현지시간) 펑파이신문은 자국 여행 플랫폼 'DAST'의 자료를 인용해 지난 18일 기준 일본행 항공기의 좌석률이 전주 대비 12.3%포인트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같은 기간 일본행 항공기 탑승객 수도 10.8%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행 항공권 취소율은 13.4%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 대신 한국으로 눈길을 돌리는 중국인들이 늘고 있다. 중국 여행 플랫폼 ‘취날’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주말(15~16일) 중국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해외 여행지는 한국이었다. 이 기간 항공권 결제 건수 1위도 한국행이었으며, 검색량 역시 서울이 가장 높았다. 기존 1위였던 일본을 제친 결과로, 뒤이어 태국,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에 일본이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이후 중국은 △일본 여행·유학 자제 권고 △일본 영화 상영 연기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등 전방위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한일령’에 여행지도 바뀐다”…중국 관광객 유입 수혜주는? [줍줍 리포트]](https://newsimg.sedaily.com/2025/11/21/2H0JGWL1JT_1.jpg)

![[중국증시 데일리 이슈(11.21)] 대일 추가보복 가능성, 중·영 넥스페리아 사태 논의, 광둥성 AI 등 신기술 개발 확대, 탄산리튬 최고가 랠리, 5G·자동차 관련 이벤트](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한반도 첫 잠수함, 장보고함 아니었다? 82년전 '씁쓸한 역사' [Focus 인사이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21/47aa2fec-a83d-49af-8f8c-a4f51095d34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