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승진 못 하는데 어쩌라고"…'7급 500명' 채용 발표에 공무원 뿔난 이유가

2025-09-10

정부가 근로감독과 산업안전 강화를 위해 7급 국가공무원 500명을 신규 채용한다. 그러나 고용노동부 내부에서는 승진 정체와 보상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인사혁신처는 10일 ‘2025년도 근로감독 및 산업안전 분야 7급 국가공무원 공개채용시험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시험에서는 기계·전기·화공·토목·건축·일반행정·고용노동 등 7개 직류에서 과학기술직 300명, 행정직 200명 등 총 500명을 선발한다. 근로감독관 단일 공채 규모로는 역대 최대치다.

원서 접수는 오는 15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된다. 1차 공직적격성평가(PSAT)는 11월 15일, 2차 필기시험은 내년 1월 24일, 3차 면접시험은 내년 3월 5~6일 각각 치러진다. 최종 합격자는 내년 4월 이후 고용노동부에 배치돼 현장 근로감독과 산업안전 관리 업무를 맡는다.

하지만 고용노동부 내부에서는 불만이 적지 않다. 4년째 승진을 못하는 기수가 있는데 7급을 또 대거 뽑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고용부는 문재인 정부 시절 대규모 채용으로 인해 조직 내 ‘승진 병목’이 누적돼 온 상황이다.

실제로 고용부는 2018년 514명, 2019년 674명, 2020년 225명, 2021년 1189명, 2022년 573명을 채용한 바 있다. 여기에 인건비 총액 관리, 국민취업지원제도 종료에 따른 직급 구조 조정 등이 겹치면서 승진 적체 우려가 제기돼왔다.

노동부 안팎에서는 산업재해 조사, 불법파견 단속, 플랫폼·특수형태근로자(특고) 관련 문제 등으로 현장 수요가 커지고 있는 만큼 인력 확충은 필요하지만, 동시에 직급별 승진 쿼터 조정, 고난도 보직 가산점 부여, 경력·성과·교육과 연계한 승진 체계, 근속승진 요건 합리화 등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