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의 ‘K뷰티론’ 사업이 오는 31일부터 지원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대한화장품협회 회원사와 거래하는 기업만 지원 대상으로 한정한 요건이 불합리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자, 보완 조치에 나선 것이다.〈중앙일보 10월 1일자 경제 5면〉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중기부 종합감사에서 “K뷰티론 사업에 개선 여지가 있다고 보인다”며 “대한화장품협회를 통하지 않고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자격요건을) 변경해 오는 31일 재공고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4월 중기부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함께 시작한 중소기업 K뷰티론 사업은 우수 화장품 브랜드에 신제품 생산비용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선정된 기업은 발주 금액 내에서 최대 1억원씩, 연간 2회까지 정책자금을 저리(최대 5년간, 정책금리 약 2%)로 대출 받을 수 있다.
문제가 된 부분은 지원 대상이다.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협회 소속 제조사(수주기업)와 거래하는 기업만 K뷰티론을 받을 수 있어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화장품 제조사(OEM, ODM 등)는 약 4800여개. 이 중 협회에 가입된 제조사는 매출 2조원이 넘는 콜마·코스맥스를 포함해 약 120개(2.5%)뿐이다.
구자근(국민의힘) 의원실이 중기부에서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이후 K뷰티론 신청을 목적으로 대한화장품협회에 신규 가입한 제조사는 총 43개다. 경기도에 있는 한 색조화장품 제조업체는 “회비(입회비 150만원, 월회비 15만원)가 부담돼 협회에 가입하지 않았는데, K뷰티론 때문에 할 수 없이 신규 가입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K뷰티론 예산은 200억원이 책정됐으며 지난달 말 기준 123개 업체에 약 106억원이 집행됐다. 사업 변경 공고 이후 내달부터는 남은 예산 약 94억원에 대해 대한화장품협회 비회원사 고객사도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