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230억원가량의 실업급여가 부정수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환수율은 60%대에 그쳤다.
5일 국회예산정책처의 '2026년 예산안 위원회별 분석 -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에 따르면 올 8월까지 실업급여 부정수급 건수는 1만7246건이었다. 부정수급액은 230억1400만원이다. 추가징수액을 포함한 반환 명령액은 437억원인데, 이 중 289억원만이 환수돼 환수율은 66.3%에 머물렀다. 다만 기일 내 미납 시 국세 체납 처분 절차에 따라 강제 징수하므로 환수액은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나게 된다.
실업급여 부정수급액은 △2021년 282억원 △2022년 268억원 △2023년 299억원 △2024년 322억원으로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반면 자진신고 건수는 △2021년 1만3325건 △2022년 1만2019건 △2023년 9050건 △2024년 8879건으로 줄고 있다.
5년간 3회 이상 구직급여를 수급한 이들을 뜻하는 '반복수급자' 또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21년 10만491명이던 반복수급자는 지난해 11만2823명으로 3년 만에 12.3% 늘었다. 지난해 9월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실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누적 수급액 상위 10명 중 한 명은 같은 사업장에서 최대 21회에 걸쳐 총 1억400만원을 수령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 구직급여 반복수급자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는 실업자들이 노동시장 참여보다 구직급여에 의존하게 만드는 측면이 있으니 노동부는 구직급여의 반복 수급 규모를 줄이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노동부는 실업급여 부정수급 실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부정수급된 금액을 적극적으로 환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규‧판례] 심판원, 선급금으로 현금유출한 회삿돈…상여금으로 가장한 건 부당행위](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145/art_17623119712192_f51a0e.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