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호 기념 컨퍼런스] 배경훈 장관 “국가 AI 대전환 위한 고속도로 깔겠다”

2025-08-31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AI 고속도로' 구축을 본격화한다. 인프라부터 데이터, 반도체, 파운데이션 모델,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한국형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피지컬AI 등 특정 분야에서 선도적 리더십을 확보한다. 이를 위한 정책 컨트롤타워로 '국가AI전략위원회'를 출범하고 내년 10조원 넘는 예산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29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전자신문 1만호 기념 컨퍼런스에서 공공·산업·지역 전분야에서 'AI 기본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 로드맵을 제시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축사에서 “세계적 수준의 독자 AI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우리가 잘할 수 있는 제조·바이오 등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과 보편성을 확보한 특화 AI를 보급·확산해 나갈 것”이라며 “누구나 AI를 활용하고 AI로 국민의 삶을 지키는 AI기본사회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AI가 저성장·저출산·고령화 등 직면한 위기를 해결하고 기술주도 성장을 견인할 핵심수단으로 보고 있다. 특히 AI 도입을 통해 국내총생산(GDP)을 최대 12.6%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저력도 충분하다. 현재 한국의 AI 역량은 영국·프랑스 등과 함께 글로벌 3위권 그룹에 속한다. 엑사원, 솔라프로2 등 세계 최상위권 경쟁력을 갖춘 AI 모델도 있다. 특화 서비스와 반도체 기업까지 AI 풀스택 생태계를 갖춘 것도 강점으로 꼽힌다.

다만 그래픽처리장치(GPU) 자원 부족과 고급인재 확보 난항, 선도국 대비 1년 이상 기술 격차는 약점으로 지적된다. 정부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내년 AI 예산으로 올해보다 3배 이상 늘어난 10조1000억원을 책정했다.

정부 AI 전략의 출발점은 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가 네트워크로 유기적으로 연결된 국가 AI고속도로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 컴퓨팅센터를 대폭 확충해 내년에만 GPU 1만5000개를 추가 도입할 계획”이라며 “데이터센터 특별법을 제정해 인허가 절차를 단축하고 전력계통영향평가 부담을 줄여 민간 AIDC 건립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 의료·제조·교육 등 분야별 데이터 스페이스를 구축하고 민감정보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안심구역을 확대한다. 데이터가 원활히 흐를 수 있는 AI 네이티브 기반 6G 네트워크 상용화도 적극 추진한다.

초격차 AI 기술 확보도 병행한다. 정부는 범용인공지능(AGI)과 피지컬AI,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를 차세대 게임체인저로 보고 기술개발(R&D), 실증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AI 핵심인재 확보를 위한 특별비자, AX대학원 신설을 비롯해 민간 국가대표 정예팀을 중심으로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이달 초 출범하는 국가AI전략위원회는 정책 심의·조정 권한을 가진 최상위 기구로 AI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한다. 정부와 기업, 전문가가 모두 참여하는 원팀 체계로 운영되며 중장기 비전 수립부터 부처간 정책 조정, 성과 관리까지 총괄한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