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F협의회 고도화…책임 투자, 성장 펀드 TFT 속도 [시그널INSIDE]

2025-11-20

100여 개 사모펀드(PEF) 운용사를 회원으로 둔 PEF협의회가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생산적 금융을 지원하기 위한 조직 구축에 속도를 낸다. 협의회 안에 사회적책임투자(SRI)위원회를 신설해 PEF 투자·회수 과정에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정부가 추진하는 150조 원 규모 국민성장펀드에 대응하는 태스크포스팀(TFT)을 통해 정부 정책과 보폭을 맞추는 것이 목표다. 올 들어 정치권을 중심으로 PEF 규제 움직임이 일고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하기 위해 비법인 사단인 협의회를 공식 사단법인인 협회로 전환하는 방안은 논의를 지속한다.

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PEF협의회는 최근 사회적책임투자(SRI)위원회 신설에 속도를 내고 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투자에 관심을 가진 주요 회원사 임원이 SRI위원회 실무를 주도할 예정이다. 박병건 PEF협의회 회장은 지난달 말 신임 회장으로 취임하며 PEF 투자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SRI위원회는 PEF 운용사가 투자·회수 과정에서 지켜야 할 윤리 규정집을 만들어 소속 회원사가 이를 준수하도록 할 방침이다. 윤리 규정집의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최근 PEF 업계 내 협의회의 역할이 커지는 점을 고려하면 회원사의 자구 노력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협의회는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에 대응하기 위한 TFT 구성에도 나선다. 150조 원의 전체 펀드 규모 중 35조 원이 간접 투자 자금으로 쓰일 예정인데 이를 활용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서는 것이 목표다. 협의회는 현재 TFT 구성 방침을 확정하고 정치권, 금융 정책·규제 당국, 산업은행과의 협의를 고도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35조 원 규모의 간접 투자 자금을 PEF 운용사와 벤처캐피털(VC) 등 위탁 운용 기관을 통해 5년 동안 운영하고 인공지능(AI)·반도체·바이오 등 첨단 산업에 투입할 방침이다.

현재 비법인 사단으로 운영되는 협의회를 공식 사단법인으로 전환하는 논의는 지속한다. 올 들어 일부 PEF 투자·회수·청산 사례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정치권을 중심으로 관련 규제 움직임이 일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 확대 필요성에는 회원사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협의회를 협회로 전환한 후 커진 조직을 상시 운영하기 위해서는 예산 규모를 늘려야 해 중소 운용사를 중심으로 반대 목소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일각에서는 회원사 규모에 따라 납부 회비에 차등을 두는 방식으로 협회 전환을 추진하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박 회장은 “협회를 발족해 상설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에는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협회 전환은 아직 논의가 이어지는 단계로, 보다 가시화돼 있는 SRI위원회 신설과 국민성장펀드 TFT 구축에 우선 집중해 현안을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