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협중앙회가 잇따른 사건·사고로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범농협 혁신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하고 강도 높은 쇄신안 마련에 나섰다. 사건·사고가 발생한 지역 농축협에는 중앙회 지원을 전면 중단하는 등 엄격한 제재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농협은 12일 중앙회 지배구조 혁신과 지역 농축협 부정부패 근절 방안 등을 담은 개혁안을 발표했다. 앞서 10일 발표한 전면적인 인적 쇄신 방안에 이은 후속 조치다.
개혁안에 따르면 농협은 지역 농축협의 횡령과 같은 부정부패 사고를 막기 위해 고강도 제재 방안을 도입하기로 했다. 사건·사고가 발생한 농축협에 대해선 중앙회의 지원을 전면 중단할 방침이다. 아울러 엄격한 비용 집행 가이드라인과 위반 시 제재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부정선거 방지를 위해 선거관리기구와 신고센터를 즉시 운영하고, 부정선거 행위 적발 시에는 신속하게 조사할 계획이다.
지역 농축협의 규모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도 추진한다. 합병을 추진하는 지역 농축협에 중앙회의 예산과 자금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영세한 지역 농협 난립 문제는 오랜 기간 지적돼왔다. 지역 농협은 2000년 1383개에서 2025년 현재 1110개로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다. 농협의 한 관계자는 “조만간 규모화가 필요한 지역을 선정해 합병하는 방안 등 구체적인 목표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대한 비위 행위 근절을 위해 지배구조 개선도 추진한다. 대표이사에게 경영 자율성을 보장해 책임경영 체계를 확립하고, 중대한 비위 행위가 발생할 경우 대표이사를 해임하는 등 엄중한 책임을 묻기로 했다. 수의계약은 원칙적으로 금지해 불공정 행위 발생을 차단하기로 했다.
금융 지원은 늘린다. 향후 5년 간 혁신 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생산적·포용금융에 108조 원을 투입하고 농업인의 장기 연체 채권 소각에 나서기로 했다.
농협은 최근 수많은 사건 사고로 인해 지난달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잇따른 지적을 받았다. 강호동 회장이 선거 과정에서 용역업체로부터 1억 원대의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으로 질타를 받았으며, 강 회장 선거 캠프 출신이 ‘낙하산 인사’로 임원직에 올랐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최근 5년 간 지역농협에서 255건의 횡령 사고가 발생했고, 사고 금액이 545억 원에 달하는 등 내부통제 부실이 심각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최근에는 경남 산청군농협 조합장이 3월 발생한 대형 산불과 7월 수해 때 들어온 구호물품을 횡령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농협은 “이번 개혁 추진 계획은 과거의 구습과 관행을 타파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담았다”며 “조직의 투명성과 청렴성을 회복해 국민에게 신뢰받는 농협, 농업인에게 힘이 되는 농협으로 새롭게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주류도매업중앙회, 공병 수수료·TO제 유지 총력전 선포](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146/art_17629383219311_07f120.jpg)
![[PICK! 이 안건] 차규근 등 10인 "원도급인 건설사업자에게도 외국인 불법고용 금지에 관한 관리·감독 의무 부과해야"](https://www.jeonmae.co.kr/news/photo/202511/1201604_915214_562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