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공동선대위원장은 14일 이재명 대선 후보에 대한 테러 위협 관련해 "만에 하나 이 후보 신변에 문제가 생긴다면 모든 것은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정부의 책임"이라고 주장했다.
전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선대위 회의에서 이 권한대행을 향해 "이 후보에 대해 최고 수준의 경호를 강력히 지시하라"며 이같이 말했다.
전 위원장은 "내란 세력이 정권 연장의 최후 수단으로 이 후보에 대한 테러를 기도하고 있다는 제보가 끊이지 않는다"며 "러시아제 권총이나 저격총 밀수, 블랙 요원 동원 등 구체적인 정황이 담긴 테러 제보들이 빗발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대선 남은 기간 최우선 과제는 이 후보의 신변 보호"라며 "대선 후보에 대한 테러는 후보뿐 아니라 유권자까지 공격하는 민주주의 파괴행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같은 총기 암살 테러에 직면했던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처럼 유세 현장에 4면 방탄 유리막 설치를 포함해 모든 대응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전 위원장은 이날 앞서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 집중'에 출연해 "이 후보가 부산에서 테러를 당했을 당시 '국정원이 테러의 배후가 아닌가' 이런 의구심이 제기됐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그때 테러 배후 규명이라든지 공범 부분에 대해 제대로 수사하지 않고 넘어가는 바람에 계속 이 후보에 대한 테러 얘기가 나오고 있는 것"이라며 "테러 주무기관인 국정원이 나서서 수사하고 정보를 수집해야 하지만 지금 국정원이 손을 놓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 위원장은 부산 테러 배후를 국정원으로 의심하는 이유로 "당시 테러가 발생하자마자 총리실 대테러센터가 '경상', ' 출혈도 아주 적다'는 식으로 테러 정도를 축소·왜곡해 문자를 보낸 점, 당시 이재명 대표가 의료 헬기 특혜를 받았다는 식으로 변질시킨 점" 등을 들었다.
그러면서 "총리실 대테러센터에 나와 있는 국정원 요원이 부산 테러 현장에 왔다 갔다 했다는 제보도 있었다"며 "저희는 여전히 당시 윤석열 정권이 이재명 대표에 대한 테러에 관여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했다.
한편 민주당은 지난 10일 김민석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이 후보 테러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따라서 이 후보 유세 연단에 밀접한 자리는 사람들이 몰리지 않도록 통제하고 있으며, 이 후보는 악수나 포옹 등 직접적인 접촉은 하지 않는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