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CEO(최고경영자)들은 2026년 대한민국 경제를 대체로 긍정적으로 전망하면서도, 글로벌 경기 침체와 인공지능(AI) 확산을 최대 변수로 꼽았다.
휴넷은 다음 달 30일 개최하는 사업계획 특화 포럼 ‘포사이트 코리아 2026’을 앞두고 이 같은 내용의 조사를 실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포럼은 2026년 경영전략 수립에 필요한 핵심 인사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경제·경영·마케팅·인사·테크 등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행사로, 이번 설문 역시 이러한 주제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CEO 2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6 사업계획’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2.6%가 내년 한국 경제가 ‘성장’(36.3%)하거나 ‘유지’(36.3%)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락’은 21.9%, ‘예측하기 어렵다’는 5.5%에 그쳤다. 경기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CEO가 ‘최악은 피할 것’이라는 신중한 낙관론을 보였다.
자사 주력 산업의 성장성 전망 역시 ‘성장’이 42.5%, ‘유지’가 36.3%로, 긍정적 응답이 78.8%에 달했다. ‘하락’은 17.5%, ‘예측하기 어렵다’는 3.7%였다. 자신이 속한 산업군에 대해서는 한국 경제보다 다소 더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2026년 대한민국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줄 변수(복수 응답)로는 ‘글로벌 금리 및 경기 침체’(66.9%)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AI의 급속한 확산’(45.6%), ‘국내 정치 및 규제 환경 변화’(43.1%), ‘소비 심리 및 내수 시장 둔화’(28.1%) 순이었다. 이외에도 ‘지정학적 리스크’(11.9%), ‘ESG 관련 규제 및 요구 강화’(5.6%)가 뒤를 이었다.

한편 CEO들이 꼽은 2026년 자사의 핵심 전략 키워드는 ‘혁신’(디지털 전환·AI 등, 30.6%)이 1위로 꼽혔다. 이어 ‘성장’(시장 확대·신사업 등, 24.4%), ‘생존’(시장 축소·경쟁 심화 등, 21.3%), ‘내실’(비용 절감·리스크 관리 등, 20.6%), ‘전환’(사업 구조 변화·M&A 등, 3.1%) 순으로 나타났다. AI 확산을 경제 변수로 꼽은 만큼, 이를 혁신 동력으로 활용하려는 의지가 전략 키워드에서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2026년 사업계획 수립 시 가장 중요하게 검토해야 할 분야(복수 응답)로는 ‘한국 경제 전망’(46.9%)과 ‘글로벌 경제 전망’(41.3%)이 나란히 1·2위를 기록했다. 대내외 경제 상황이 사업계획의 출발점이자 최우선 고려사항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뒤로 ‘인재 유치 및 조직 관리’(33.1%), ‘최고경영자의 경영 전략’(25.6%), ‘AI 영향력’(24.4%)이 꼽혔다.
CEO들이 주요 경영 정보를 얻는 채널(복수 응답)로는 ‘업계 보고서·시장 조사 자료’(63.1%)가 가장 많았으며, ‘신문·방송 등 언론 매체’(46.9%), ‘산업별 포럼·세미나, CEO 네트워킹’(43.1%), ‘소셜미디어·유튜브 등 온라인 플랫폼’(30.0%), ‘외부 전문가 및 컨설팅’(17.5%)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