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한국을 방문하는 3인 이상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대해 9월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비자를 면제해주기로 결정했다.
김민석 총리는 6일 ‘관광 활성화 TF’ 회의를 열고, 중국인 단체 무비자를 비롯한 관광 규제 합리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중국 국경절 연휴(10월 1~7일) 전에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 실질적인 내수 진작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올 상반기 방한 외국인은 883만명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다. 이 가운데 중국인은 252만명으로 가장 비중이 컸으나(28%), 중국인이 한국을 가장 많이 찾았던 2016년보다는 훨씬 적었다. 2016년 방한 외국인(1724만명) 중 중국인(806만명)의 비율은 47%였다. 이듬해 중국 정부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한한령(限韩令)을 내리자 중국인 방문객이 급감했다.
비자 면제 카드를 먼저 꺼낸 건 중국이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 12월까지 한국을 포함한 38개국 여행객에게 최대 15일간 비자 없이 여행하도록 했다.
관광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특히 매출 부진에 허덕이는 면세점의 기대가 크다. 면세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한·중 항공 노선 확대, 크루즈 유치 등 더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국 특수를 장담할 수 없다는 전망도 나온다. 중국 경기가 불황인 데다 일본·대만 등 주변국과의 관광객 유치 경쟁도 치열하기 때문이다. 방한 중국인 전문 여행사 ‘케이씨티트래블’의 장유재 대표는 “정부가 중국의 국영기업과 공기업 단체를 적극적으로 유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