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스라엘이 미국 F-35 전투기의 사우디아라비아 판매에 대해 ‘이스라엘-사우디’ 양국 수교를 전제 조건으로 내건 것으로 전해졌다.
15일(현지 시간) 미국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이스라엘 정부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F-35 전투기를 사우디에 판매하려면 반드시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가 전제돼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이스라엘의 한 관리는 “사우디가 외교적 성과 없이 F-35를 받게 된다면 그것은 실수이며 역효과를 낳을 것”이라며 F-35가 중동 평화를 위한 협상 카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은 아랍에미리트(UAE)가 2020년 아브라함 협정으로 양국 관계를 정상화한 뒤 미국이 F-35 판매를 승인했던 것처럼 사우디 역시 국교 정상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아브라함 협정은 트럼프 대통령 1기 때인 2020년 UAE, 바레인, 수단, 모로코가 이스라엘을 공식 인정하고 수교한 것을 말한다.
F-35 전투기 구매와 사우디-이스라엘 국교 정상화는 오는 18일 진행될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트럼프 대통령 간의 백악관 회담에서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미국 무기의 최대 고객인 사우디는 공군 현대화, 이란 위협 대응 등을 목적으로 수년간 F-35 구매를 추진해왔다. 특히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에게 F-35 구매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F-35는 적의 탐지를 피할 수 있는 스텔스 기술을 장착한 최첨단 전투기로, 중동에서는 이스라엘만 보유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사우디가 F-35를 보유하게 되면 중동에서 군사적 우위가 약화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사우디가 UAE보다 이스라엘에 훨씬 가깝다는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한 관리는 “사우디에서 이스라엘까지 F-35로 비행하는 데 몇 분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이유에서 이스라엘은 사우디와의 국교 정상화를 주장하며 ‘적이 아님을 증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사우디는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과 수립을 위한 로드맵에 합의하면 협정에 동참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난공불락' 유럽시장 뚫는 K방산…'이 국가' 도움 절실한 이유 [Focus 인사이드]](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5/a41d0f4d-0def-4103-9068-5c2b86a3e90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