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표 넘치는 중고거래 플랫폼…“관리 고도화·제도 개선 필요”

2025-09-04

#중고거래 플랫폼들에 조용필 무료 공연 티켓이 십수만원에 줄줄이 올라오고 있다. 무료 티켓을 확보한 일부 이용자들이 10만원에서 많게는 30만원에 되팔며 시세 차익을 노리고 있는 것이다. 공연업계는 “무료 배포 취지를 훼손하는 행위로, 아티스트 창작 의지마저 꺾고 있다”며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내달 KBS와 서울시가 무료로 개최하는 조용필 콘서트 티켓이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공공연히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KBS는 국민 화합을 위해 무료 티켓을 배포했지만, 본지 확인 결과 일부 중고거래 사이트에서는 티켓이 10만원 이상 고액에 거래되고 있었다.

이같은 재판매 문제는 아이돌 콘서트뿐만 아니라 야구 관람 티켓 등 스포츠 분야로까지 번지고 있다. 11월 예정된 NCT 콘서트의 경우 VIP석 정가가 19만원이지만,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140만원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이용자는 사기를 당하는 등 암표 판매로 인한 피해는 확대되고 있다.

중고거래 플랫폼은 영리적 목적으로 다량의 티켓을 상습적으로 판매하는 경우 자체 모니터링과 이용자 신고를 통해 제재 중이라는 입장이다. 판매업자의 패턴을 학습한 머신러닝, 자동 탐지 시스템, 금칙어 기반의 선제적 차단 등 다양한 기술적 조치도 적용하고 있다.

문제는 단순 가격이 높은 티켓을 암표로 단정 짓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본인이 사정이 생겨서 못가는 상황에 판매하는 경우 등의 정당한 거래 목적과 단순 암표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중고거래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암표 불법 거래를 예방, 근절하기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운영하고 있다”며 “시시각각 올라오는 수많은 티켓 상품 중에서 자체적으로 암표 여부를 판단해 제재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1차 판매사 역할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재판매 이전에 1차 판매사가 매크로를 통한 대량 예매, 신분증 위·변조 등 기술 악용을 원천 차단해야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액 환불 정책 시행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됐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연 성격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7일 전 취소는 통상 10%의 수수료가 부과된다. 예매자 정보를 보유한 1차 티켓 판매사가 취소 티켓을 재유통한다면 기존의 재판매 시장에서 발생하는 사기 등의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을 거라는 주장이다.

개인 간 암표 거래에 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지난해부터 공연법과 국민체육진흥법이 개정되며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자동으로 표를 대량 구매한 후 부정판매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1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 벌금의 처벌을 받는다.

그러나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이뤄지는 개인 간 암표 거래에 대해서는 아직 법적 처벌 수단이 미흡하다. 처벌을 위해선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다량의 표를 구매해 다수에게 판매했다는 사실이 증명돼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매크로 사용 여부를 알기 어렵고, 밝혀낼 의무가 있는 주체도 없다.

한 업계 관계자는 “1차 판매사의 시스템 강화와 2차 판매사 규제를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며 “암표 거래는 소비자 피해를 넘어 공연 및 스포츠 생태계를 저해하는 심각한 행위로, 문화 발전을 위해 사회적 근절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지혜 기자 jh@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