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월 출범…범부처 컨트롤타워
기술·예산 주무부처 겸임 가닥
상근 부위원장과 ‘3인 체제’로
민간위원 최대 20명 구성 전망
범정부 인공지능(AI) 정책 컨트롤타워 '국가AI전략위원회(현 국가AI위원회)'의 비상근 부위원장을 기술·예산 주관 부처 장관이 겸임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국가 AI 발전 핵심 요소인 기술과 산업, 투자 중요성을 고려한 결정으로 읽힌다.
20일 업계·학계에 따르면 곧 출범할 국가AI전략위원회 부위원장 3인 중 비상근직 2인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기획재정부 장관이 맡게 됐다.
AI 주무부처 수장인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과 국가 예산 기획·집행을 총괄하는 구윤철 기재부 장관을 권한과 책임이 있는 부위원장으로 발탁, 국가AI전략위원회 운영에 힘을 싣겠다는 접근이다.
위원회에는 과기정통부, 기재부뿐만 아니라 교육부, 외교부, 국방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13개 정부부처 장관과 AI미래기획수석, 국가정보원 3차장이 정부위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피지컬 AI 등 빠른 기술 발전과 경쟁력 강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구매 등 대규모 공공 투자가 필요한 분야에 예산을 적기에 투입하는 등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을 전폭 지원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위원회는 9월 경 공식 출범한다. 현재 국가AI위원회를 국가AI전략위원회로 확대 개편하기 위한 '국가AI전략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령안 입법예고가 종료됐다. 법제처 심사와 차관회의, 국무회의 심의, 공포 등 후속절차만 남겨뒀다.
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이 당연직으로 맡는다. 위원회를 총괄할 상근 부위원장은 이 대통령과 성남시·경기도 등에서 호흡을 맞춰온 IT 전문가 임문영 더불어민주당 디지털특별위원장(전 경기도 미래성장정책관)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비서실과 AI미래기획수석실 주도로 AI 관련 전문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민간위원을 물색하는 등 위원회 조직 구성작업도 마무리 단계다. 박태웅 한빛미디어 의장, 류정혜 과실연 AI미래포럼 공동의장, 배순민 KT AI퓨처랩장(상무) 등이 민간위원으로 거론된다. 민간위원은 최대 20명 이상 규모로 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에 대통령실 AI·디지털비서관이 겸직한 위원회 지원단장은 과기정통부 실장급 인사를 파견하는 안이 검토된다. 강력한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 수행과 실무를 위해 기존 20여명 수준이었던 지원단 규모도 더 늘릴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AI 활용과 산업 내 확산이 중요한 만큼 AI 기술과 활용에 능통한 산업 전문가 중심의 민간위원 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