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잃은 장인화 '안전경영'···與, 포스코 산재 정조준 나섰다

2025-08-07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의 '안전경영' 기조가 연이은 현장 인명사고에 흔들리고 있다. 정부와 여당이 사실상 포스코그룹을 겨냥한 산업재해예방 대책을 예고하면서 장 회장에 대한 정치권의 압박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7일 정계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포스코그룹의 연이은 산업재해에 대한 특단의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정 기업에서 산업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한 데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포스코그룹에 대한 대책 마련을 지시했기 때문이다.

당내에서는 산업재해예방TF를 확대·개편하거나 포스코그룹 관계자가 출석하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청문회, 포스코그룹 등 산재 다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간담회, 산재 예방을 위한 당정 협의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포스코그룹의 대응책이 미흡하면 오는 정기국회 국정감사에 장 회장의 출석을 요구할 수도 있다.

권향엽 민주당 대변인은 지난 6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를 마친 뒤 “이재명 대통령께서 산업재해와 관련해 엄중한 입장을 말씀하셨다. (구체적 방안에 대한 당내) 추가 논의는 없었지만 (이 대통령의 생각과 민주당도) 결을 같이하고 있다”며 추가 대책을 예고했다.

안호영 국회 환노위원장도 이날 본지와의 통화에서 “산업재해 관련 대책 마련을 위해 국회에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여당은 포스코그룹의 산업재해 대책인 이른바 장인화 회장의 '안전경영' 기조가 현장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장 회장이 여러차례 안전을 최우선 의지를 피력하고,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가 관련 리스크를 관리하지만, 업무 재해 관련 지표는 좋지 않다.

2024 포스코홀딩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보면 장 회장이 취임하기 직전인 2023년 7명이었던 철강부문 임직원 재해자 수는 취임 이후인 2024년 26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협력사 재해자 수도 17명에서 24명으로 증가했다. 인프라 부문 협력사 재해자 수 역시 68명에서 70명으로, 사망자 수는 2명에서 6명으로 늘었다.

심지어 지난달 14일 포스코 광양제철소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해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다쳤다. 포스코이앤씨도 올해 사망사고 4건, 감전 사고 1건 등이 발생했다.

장 회장의 안전경영 기조가 현장과 동떨어진 공염불에 그쳤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민주당 지도부도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정청래 대표 측 관계자는 이날 본지와 만나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만큼 민주당도 챙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 조성우 기자 good_sw@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